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은 장애인·비장애인 모두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아시아문화박물관 상설전시 수어해설 영상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새로 제작한 수어해설 영상은 올해 새롭게 개편한 아시아문화박물관 '몬순으로 열린 세계: 동남아시아의 항구도시’와 '전당 건립 아카이브-빛의 숲(Forest of Light)' 상설전시다. ACC를 방문한 청각장애인은 아시아문화박물관의 각 전시실에 비치된 QR코드를 통해 휴대전화로 쉽게 전시 해설 영상을 만나볼 수 있다.
'몬순으로 열린 세계' 수어해설 영상에서는 인도·동남아시아의 계절풍 '몬순'을 따라 전개되는 사람들의 교역과 문화교류·항구도시를 오간 이들이 만들어낸 고유한 삶과 예술작품을 소개한다.
'전당 건립 아카이브-빛의 숲' 수어해설 영상에서는 ACC의 재미있는 건축이야기와 각 공간별 특징을 알기 쉽게 보여준다.
ACC는 지난 6월 한국농아인협회광주광역시협회와 청각·언어장애인 문화접근성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약의 일환으로 이번 수어해설 영상을 함께 제작했다. 영상은 한국농아인협회광주광역시협회·광주광역시수어교육원과의 협력으로 청각장애인 수어해설사가 직접 영상 제작·감수 등 전 과정에 참여했다.
또 ACC는 지난 5월~10월 청각장애인과 코다가족 등 총 250여명을 초청해 투어해설사와 수어통역사의 수어 해설이 함께하는 'ACC 문화탐방 프로그램'을 10회 운영했다.
코다는 CODA(Child Of Deaf Adult)의 약자로 부모 중 1명 또는 둘 다 청각장애인이거나 보호자가 청각장애인이며 그에 의해 양육된 자녀를 의미한다.
이밖에도 ACC는 지난 5월~10월 시각장애인·노년층·자립준비청년·신안군 낙도 어린이 가족을 대상으로 문화취약계층 초청 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편적 문화 복지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달 진행하는 'ACC 인문강좌'에 수어통역을 제공하는 동시에 휠체어사용자 전용 전동책상·정보검색대·시각과 청각 약자를 위한 독서확대기 등 도서관 이용객의 편의를 돕고 있다.
이강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당장은 "앞으로도 모든 이들이 쉽게 ACC를 방문할 수 있도록 문화접근성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 ACC재단 '구본창: 사물의 초상' 전시 연계 상품 내놓는다
- ACC, 민주‧인권‧평화 가치 확산 위한 '아시아 평화 기억하기' 강연
- ACC '크리에이터스 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 개최
- ACC '아시아문화연구 학술행사' 개최
- 'ACC 포커스' 시리즈 첫 번째 전시 '구본창: 사물의 초상' 개최
- '아시아 공예의 미래'…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예 워크숍 개최
- 청정원 '맛선생 국물내기 한알' NIQ 2024 혁신신제품대상 수상
- 국립중앙박물관, 클림트·실레 작품 등 레오폴트미술관 소장품 191점 전시
- 태안군, 동학농민혁명 기획전 '1894' 개최
- ACC '오장군의 발톱' 작가 박조열 전시회 개최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주한엘살바도르대사관과 동화책 기증식 개최
- ACC-KF, 아시아 문화예술 교류 강화 협약 체결
- ACC '2024 지역청년문화예술인 교류행사' 성료
- ACC, 문화예술 직업 체험하는 '우당탕탕 인턴십' 참가자 모집
- ACC, 라오스서 출판기념회·영상 시연회 개최
- ACC, 미디어 파사드 '밝아오는 새해 인사' 상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