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증권이 수익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계획이 담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22일 발표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단기적으로 2024년부터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이상을 달성하고, 주주환원성향 35% 이상을 이행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사업에서 세전이익 5천억 원 이상을 창출하고,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주 이상을 소각할 방침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론적 주주자본비용(COE)을 기반으로 ROE 목표를 설정했다. 국내와 해외의 ROE 성과를 분석하고, 국내는 물론 자기자본의 40%를 배분한 해외사업의 수익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인도 쉐어칸 증권사 인수가 마무리되면 글로벌 사업에서 연간 1천억 이상 이익이 증가할 전망이다. 글로벌 비즈니스 수익 증대 외에도 목표 달성을 위해 고객자산 규모를 확대하고, AI 기반으로 사업을 전환하며, 장기 관점의 혁신자산 투자와 장기적인 주주환원 추구를 구체적인 실행계획으로 수립했다.
주주환원정책도 한층 강화하여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주 이상을 소각하여 주당순자산(BPS) 가치 제고를 추진한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미 2019~2023년 주주환원성향을 30% 이상으로 실행했고, 올해 3월 2024~2026년 주주환원성향을 5%p. 상향한 35% 이상으로 설정하여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증권업 최초로 매년 최소 보통주 1500만주, 2우선주 100만주 이상을 소각하기로 하여 주주환원정책의 일관성과 예측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향후 1억주를 소각하면, 최대주주 지분을 제외한 실질 유통주식수가 4.1억 주에서 3.1억 주로 24%나 감소한다.
정부 밸류업 프로그램에서 하게 평가하는 소통강화 방안도 같이 포함됐다. 경영진이 참여하는 분기 어닝스 콜을 정례화하는 등 주주 및 시장과의 소통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미래에셋증권이 주주환원정책을 적극 실행하여 주주이익을 확실히 제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번 발표를 계기로 시장에서 국내 증권사가 아닌 글로벌 IB 수준으로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미래에셋증권 WM강남파이낸스센터 금융&아트세미나, 더블 팝 아티스트 김중식 작가 초대전
- 미래에셋증권, 2분기 순이익 2012억원…전년比 43%↑
- 미래에셋증권도 밸류업 한다…자사주 1000만주 매입·소각
- 미래에셋증권, 4억달러 유로본드 흥행…5.70%
- 키움·미래에셋·한투·한화투자증권 [Daily Pick 증권]
- 한투·대신·하나·키움·미래에셋·신한투자증권 [Daily Pick 증권]
- 교보·미래에셋·NH투자·KB·대신·한국투자증권 [Daily Pick 증권]
- 미래에셋증권, 라임펀드 특혜성 환매 의혹 과태료…이례적 '상향'
- 미래에셋증권, 전사 업무 효율화 위한 AI Assistant 플랫폼 도입
- 미래에셋증권, 실시간 'AI 마켓 어시스턴트' 시스템 구축
- 미래에셋증권 인도법인, 리테일 날개 펼친다…고객계좌 200만개 돌파
- 미래에셋증권, 3분기 IPO '저력' 발휘…1위 지킬까
- 미래에셋증권, 3Q 영업익 3708억원…전년比 114% 증가
- 미래에셋증권 "ROE 10% 달성 기반 충분" [컨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