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K-POP 그룹 '세븐틴(SEVENTEEN)'과 MBC 예능 프로그램 '심야괴담회 시즌4'가 연이어 인공지능(AI)과 연관돼 곤혹을 치뤘다. 예술 내 AI 도입은 찬반이 극명히 갈리며, 예술 분야의 AI 활용을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와 저작권 보호 등 윤리적 측면이 먼저 갖춰져야 한다.
영국 공영방송 BBC는 11일 'K-POP의 인공지능(AI) 실험이 성과를 낼 수 있을까?(Will K-pop's AI experiment pay off?)'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시했다. 해당 기사는 K-POP 내에 도입된 AI 사례로 지난 4월 발표된 세븐틴(SEVENTEEN)의 'MAESTRO'를 소개했다.
BBC는 해당 기사에서 'MAESTRO'에 AI를 활용한 가사가 적용됐을 수 있고, 작곡에 참여한 멤버인 '우지'가 곡 작업에 AI를 사용했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고 기재했다. 그러나 이는 지난 4월 해당 곡이 수록된 앨범 '17 IS RIGHT HERE' 기자간담회에서 우지가 'AI로 작곡을 해봤다'는 발언이 왜곡된 것이다.
당시 우지는 '(AI를 활용한 작곡) 연습도 많이 해보고 단점도 찾아보고, 그 속에서 장점은 무엇이며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속에서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지킬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즉, 우지의 발언은 AI를 앨범에 활용한 것이 아니라 AI를 활용해 연습을 하고 있다는 뜻이었다.
이에 우지는 지난 14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세븐틴의 모든 음악은 인간 창작자가 작사 및 작곡합니다' 등의 글을 올려 반박했으며, 플레디스도 BBC에 정정보도를 요청했다.

뒤이어 14일에는 '심야괴담회'가 재연 영상에서 재연배우가 아닌 AI로 제작한 삽화를 삽입해 시청자들로부터 비판받았다. 시청자들은 해당 영상 속 AI 이미지에 대해 'AI로 만든 거 너무 어색하다', '이제 재연배우들의 자리도 위협받는구나', 'AI 이미지 때문에 집중이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임채원 '심야괴담회' PD는 스포티비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제작비 절감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임 PD는 'AI가 일관성 있는 이미지를 구성하기 어려워 에피소드 전체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따른다'며 '향후 축소하고 삽화로 대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I 예술'은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지난 7월 경기도 부천서 열린 국내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제2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은 국내 최초로 AI 영화 국제경쟁부문을 도입해 총 15편의 AI 영화를 상영했다. 오는 12월에는 영화의전당이 주최하는 '부산국제인공지능영화제'가 열린다.
AI 기술은 초기에는 음악 및 미술 분야에 가장 활발히 도입됐으나, 현재 연기·영상에도 활용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넷플릭스 드라마 '살인자ㅇ난감' 속 '장난감 형사'(손석구)의 아역 배우를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닮은 꼴로 가공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논란이 일었다. 5월 개봉한 영화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도 주연 배우 안야 테일러-조이(Anya Taylor-Joy)가 미국 예능 프로그램에서 아역 배우의 얼굴을 AI를 활용해 가공했다고 발언했다.
그렇다면 AI 예술은 예술이 될 수 없을까? 예술 분야의 AI 활용은 찬·반 양측의 논쟁이 격렬하게 진행 중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 예술은 '테크네(techné)'라는 단어로 기술과 함께 통칭됐으나 현대 예술은 작가주의 등 창작자의 의도, 관념, 사고 등 기술 밖의 영역이 더 주요해졌기 때문이다.
AI 예술을 찬성하는 측은 제작 시간·비용 절감 등 효율성과 접근성을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반대하는 측은 AI 생성을 위한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동의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등의 저작권 침해 및 '심야괴담회'처럼 AI 도입으로 인한 예술가의 권리(저작권, 생계, 윤리적) 침해를 주요 문제로 꼽는다.

예술의 본질 및 진실성에 대한 의문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19세기에 카메라가 개발된 후 사진 분야는 '현실을 그대로 촬영(재현)한 것뿐'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앤디 워홀(Andrew Warhola Jr., 1928~1987)은 순수예술(추상표현주의)와 대치되는 상업 요소를 활용한 예술(실크 스크린 기법, 팝 아트)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유일성) 창의적이어야만 하는 것'이라 여겨졌던 예술을 '시각(사유, 관점)의 변화'로 옮겨왔다.
정덕현 문화평론가는 AI를 활용한 연기·영상 등의 거부감에 대해 '우리가 익숙하게 봐왔던, 사람이 재현했던 부분을 AI로 활용한 익숙하지 않은 낯선 그림을 마주하며 불쾌감이 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를 AI 예술의 과도기라 지칭하며 '(향후) 기술이 발전해서 인간의 동작 등을 구분할 수 없게 만들어지거나 대중들이 가상 개념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감수성의 변화가 생긴다면 불쾌함이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 평론가는 '결과물로만 예술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며 '중요한 건 실체로 등장한 것, 결과물로 나오는 것 자체에 예술의 어떤 부분이 있기보다, 작품 속에 담긴 기획에 대한 예술성, 기획이 얼마나 파격적이고 예술적인 기반으로 시도된 것인지가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 평론가는 AI 예술의 윤리적·긍정적 도입을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 및 기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평론가는 '예를 들어, 저작권과 관련해 범용적 활용에 대한 동의 등 사회적 합의가 마련되면 문제가 덜할 수 있겠지만 그 과정까지 가는 게 어렵고 법적으로 제제한다 해서 될 문제도 아니다'며 '(AI 예술이 윤리적·긍정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많은 의견들이 나오고, 개진되고, 토론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연대'로 찾아오는 희망, 세종문화회관 '블라인드 러너'
- 문체부, 청년 150명과 인공지능·영화산업 포럼
- 문체부, 한·중 저작권 보호 및 음악산업 발전 위한 회의 개최
- 한국저작권위원회, AI 학습 원천 데이터 무료 공유 소개
- 경남 합천, 제5회 수려한합천영화제 오는 10월 개막
- 부산영상위, 음향 분야 국제 프로그램 'AVID Pro Tools' 교육 참가자 모집
- 영진위 "올해 상반기 한국영화 매출액 팬데믹 이전 91.2% 회복"
- 롯데시네마, 심규선 '우리 앞의 세계' 콘서트 실황 단독 상영
- CGV, 인기 캐릭터 '미니언즈' 콜라보 굿즈·푸드 출시
- 제21회 EBS국제다큐영화제(EIDF2024), 슬로건 및 포스터 공개
- 영화 주인공이 내 얼굴로, CGV 'AI 무비필터' 25일 공개
- 문체부, 미술정책 진흥 담은 '미술진흥법' 26일 시행
- 한국저작권위원회, 안무 저작권 보호 위한 세미나 개최
- 'AI로 불심 단결'…접근 방향 넓혀 청년 친화
- 경기도, 생성형 AI 활용한 '대한민국 AI 국제 영화제' 연다
- '슈가 챌린지'·'사이버불링'…K-POP 팬덤 자정 필요한 이면
- 알랭 들롱 추모 ② [영화평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