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세종문화회관
사진 제공=세종문화회관

세종문화회관이 1999년 법인화 이후 처음으로 자체수입 200억원을 넘겼다.

세종문화회관이 23일 발표한 2023년도 예산결산 결과에 따르면 공연 관람료, 대관료, 임대수입 등으로 이뤄진 자체수입은 전년 대비 18%(34억원) 증가한 219억원이었다.

2023년 자체 수입은 공연수입과 대관수입이 전년대비 12% 증가한 112억원, 후원금과 매장 임대수입 등 기타수입은 23% 증가한 10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소속 예술단 중심으로 진행한 공연수입은 전년대비 14% 증가한 76억원에 이른다.

지난 2022년 ‘제작극장’ 선언 이후 세종문화회관은 소속 예술단인 6개 서울시예술단(서울시국악관현악단·극단·무용단·뮤지컬단·오페라단·합창단) 공연 품질개선에 집중했다. 그 결과 2023년 자체수입 중 예술단 공연수입은 전년 대비 12억원이 증가한 3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자체수입에서 주목할 부분은 서울시예술단 창작공연의 성공이다. 2023년 세종문화회관의 유료 관람객 수는 49만5537명으로 코로나19 전인 2019년(49만7320명)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고, 2023년 소속 6개 예술단 전체 관람객 수는 8만6275명으로 2022년 대비 46% 증가했다.

그 결과 예술단 공연수입은 2022년 21억원에서 2023년 33억원으로 전년 대비 57% 상승을 기록했다. 예술단 공연 매진 사례도 이어졌다. 서울시무용단 ‘일무’, 서울시오페라단 ‘투란도트’, 서울시뮤지컬단 ‘다시, 봄’, 서울시합창단 ‘가곡시대’, 서울시극단 ‘키스’ 등 소속 예술단 공연이 매진됐다. 특히 ‘일무’는 미국 뉴욕 링컨센터에 진출해 공연 전회차를 매진시켰다.

1999년 재단법인으로 전환해 매년 서울시로부터 출연금 형태로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세종문화회관은 2021년 안호상 사장 취임 이후 대관 중심에서 벗어나 ‘제작극장’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바 있다. 자체 공연을 제작하는 비중을 높였고, 대극장 등 공연장과 미술관의 공실률을 최소화해 대관수입을 늘렸다. 또한 기관 내 임대공간을 발굴해 임대 수입을 늘리는 등 수입 다변화하며 자체 수입을 높였다.

세종문화회관의 ‘제작극장’ 비전은 올해도 계속된다. 2024년 세종 시즌은 소속 6개 서울시예술단 중심의 29개 작품 229회 공연으로 구성했다. 올해 세종 시즌 공연, 야외 공연, 싱크넥스트24 등을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시민들의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안호상 세종문화회관 사장은 “법인화 이후 처음으로 자체수입 200억원을 넘긴 것은 광화문광장 개장과 함께 세종문화회관 1층을 활짝 열어 시민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한 것도 주효했다. 앞으로 세종문화회관은 시민들이 서울 사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차별화된 예술 콘텐츠를 제공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최고의 예술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화 #공연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