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가 개발한 DNA를 통한 네트워크 망 품질 분석 인포그래픽. 사진 = SKT
SKT가 개발한 DNA를 통한 네트워크 망 품질 분석 인포그래픽. 사진 = SKT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3차원 환경 네트워크 상황을 정교히 분석하는 'DNA(Deep Network AI)' 솔루션을 상용망에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DNA는 특정 건물 공간 또는 지하철·철도·도로 등 이동 공간을 복합적으로 파악, 네트워크 트래픽과 고객이 경험하는 네트워크 속도·커버리지, 고객 불편사항 등을 분석할 수 있는 AI 기반 3차원 공간 네트워크 상황 분석·시각화 프로그램이다.

기존 네트워크 분석은 주로 위도와 경도 기반의 실외 2차원 공간에서 이루어져 현실적으로 생활·이동하는 건물 내부, 도로, 지하철 등 3차원 환경의 네트워크 경험이나 품질 분석이 어려웠다는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

현재 SKT는 수도권 내 상업용 건물과 지하철, 철도, 도로 등 70% 이상 공간을 대상으로 DNA 분석을 적용 중이며, 현장에서 네트워크 저하 현상을 인지하는 시간이 기존 대비 평균 60% 이상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SKT는 향후 DNA로 시간·위치·상황(TPO)을 정확히 분석하고 세밀한 네트워크 품질까지 조율하는 등 망 운용 효율성을 높인다. DNA 분석 대상 영역을 확대해 현재 현장 상황을 인지하는 수준에서 향후 통신 상황까지 예측할 수 있도록 발전시킬 예정이다. 더불어 통신장비가 설치된 현실세계와 유사한 디지털 트윈으로 분석하는 방향으로 AI 모델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SKT는 다가오는 MWC 2024 전시를 통해 해외에도 DNA 활용 사례를 공개하고, Network AI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비즈니스 협력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박명순 SK텔레콤 Infra AI/DT 담당은 "네트워크 영역에서 개발해온 위치, 모빌리티,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AI 모델 기술이 융합된 결과물로 의미가 있다"고 설명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의 체감 품질과 망 운용 효율성을 지속 제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