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2023년 4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매출 11조3055억원, 영업이익 3460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이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인공지능(AI) 서버와 모바일향 제품 수요가 늘고, 평균 판매 단가(ASP)가 상승하는 등 메모리 시장 환경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흑자 전환으로 누적 영업적자 규모를 줄였다. 2023년 영업손실은 총 7조7303억원, 순손실 9조1375억원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D램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해, 주력 제품인 DDR5와 HBM3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4배, 5배 이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상대적으로 업황 반등이 늦어지고 있는 낸드에서는 투자와 비용을 효율화하는 데 집중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올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생산으로 수익성·효율성을 높이되 투자비용은 최대한 적게 늘릴 예정이다. 또 향후 고성능 D램 수요 증가에 맞춰 AI용 메모리인 HBM3E 양산과 HBM4 개발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서버와 모바일 시장에 DDR5, LPDDR5T 등 고성능, 고용량 제품을 적기 공급할 계획이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AI향 서버 수요와 온디바이스 AI응용 확산을 대비해 고용량 서버용 모듈 MCRDIMM과 고성능 모바일 모듈 LPCAMM2 준비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낸드는 eSSD 등 프리미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한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장기간 이어져온 다운턴에서도 회사는 AI메모리 등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며 지난해 4분기 흑자 전환과 함께 실적 반등을 본격화했다"며, "새로운 도약의 시기를 맞아 변화를 선도하고 고객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면서 '토털AI메모리 프로바이더'로 성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하이닉스의 2023년 연간 매출액은 약 32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지난 2022년 SK하이닉스 매출액은 44조6216억원이었다.
- 울산 건설현장 노동자 사망에 입 다문 SK가스
- 한국 배터리 기업들 "칠레에 리튬 가공공장 설립 검토"
- 노소영vs김희영 손배소, 양측 다 "밝힐 입장 없어"
- SKT, AI 네트워크 3차원 분석 'DNA' 기술 상용화
- SKT, 美 반려동물 시장 두드린다···베톨로지와 MOU
- 노소영vs김희영 손배소, 쟁점은 교제 시점
- SK엔무브, 현대자동차와 '차세대 차량용 냉매' 개발 협약 체결
- SK케미칼, '특허 침해'로 노파르티스 아게에 120억여원 배상 판결
- SK하이닉스, 반도체 업계 최초 '재활용·재생가능 소재' 중장기 계획 수립
- SK하이닉스, 2024년 '행복나눔기금' 22억9천만원 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