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해보험협회는 2일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실, 보험연구원과 공동으로 '이륜차 교통안전 제도개선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고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최근 이륜차 교통사고 사망자 증가에 대응해 이륜차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과 보험가입 사각지대 해소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했으며 최승재 의원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진행된 세미나는 주제발표, 패널토론 순으로 진행다.
최승재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국회에서 이륜차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개선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제시해야할 시점에 이번 세미나가 매우 시의적절하고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며 "이륜차 업계의 현황과 문제의 세심한 진단을 통해 업계 생존권의 보장과 동시에 이륜차 운전자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미나의 첫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정미경 도로교통공단 책임연구원은 '이륜차 교통안전정책 개선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정 연구원은 "배달이륜차 위험행동 분석을 통해 배달 이륜차 운전자는 이동시간 단축 및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여러 위험 운전행동을 동시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최근 시범 운영한 후면번호판 단속장비 확대 등 법규위반 단속 강화, 배달종사자 자격제도 도입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이어 보험연구원 김규동 연구위원이 '이륜차 보험가입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이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김 연구위원은 "이륜차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이륜차 사고관리와 보험제도 정비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이륜차보험 제도개선방안으로 최초 가입자 요율 등급 신설 및 단체 할인‧할증제도 도입, 요율 차등화 확대를 제안했다.
발표이후 서울시립대학교 이수범 교수가 '이륜차 교통안전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향'을 주제로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에는 경찰청, 금융감독원 등 정부부처와 교통안전 전문가와 배달종사자 단체, 시민단체가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정지원 손해보험협회 회장은 "국민들은 배달이륜차의 안전운행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법제도 개선을 꼽고 있다"며 "이륜차 교통안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국회‧정부부처와 협업하여 사회 안전망으로써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손보협회, 고령층 대상 '맞춤 케어 서비스' 실시
- 정지원 손보협회장, “손해보험이 소비자의 든든한 디딤돌 되겠다”
- 정지원 손보협회장 "고객 종합서비스 'MY 생활·금융 플랫폼' 구축"
- 손보협회, 혁신 스타트업 지원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 '4세대 실손 전환 할인' 연말까지 연장
- 손보협 '비보호 좌회전 주의보', 과실비율 최대 100%까지 개선
- 손보 사회공헌협의회, 장마철 '침수피해 방지 물막이판' 지원
- 손보협회 '2023 블루리본 컨설턴트' 2527명 선정
- 보험연구원 "솜방망이 처벌로 보험사기 방지 못해"
- 손보협회 '반려동물보험 제도개선 방안'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