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협회 CI. 사진=손해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CI. 사진=손해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양육 중인 상위 10대 견종의 각 연령대별로 다빈도, 고위험 질환을 분석해 반려동물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건강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가이드라인을 통해 반려인들 스스로 반려동물의 잠재적 건강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질병 예방을 위한 검진, 접종 등의 준비를 하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건강관리 가이드라인은 손해보험협회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보험사에서는 고객 안내자료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손해보험협회는 반려동물 품종(상위 10개 견종)에 따른 연령대별 발생질환, 진료행위 및 진료비 수준을 조사해 보험회사가 맞춤형 보험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반려동물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52개 질환을 선정해 품종 및 연령에 따른 질환별 발생비율을 진료과목별로 구분하고 각 질환에 대한 국내‧외 주요 진료행위 및 진료비용을 조사해 반려동물보험을 판매하는 보험사에 제공한다.

보험사는 조사결과를 통해 질환별 주요 진료행위 및 진료비용을 감안해 보험상품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정부의 반려동물보험 제도개선방안이행을 위해 손해보험협회가 보험‧수의업계간 협력체계를 구축한데 의미가 있다.

손해보험협회 관계자는 "보험사와 수의업계의 협력 채널을 통해 보험상품 개발을 위한 동물진료 통계 집적 보장범위 확대(건강검진, 예방접종 등)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또한 보험금 청구간소화와 진료부 발급 의무화 등 반려동물보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제도개선 과제들을 사안별로 심도있게 논의해 반려동물 제도개선을 성실히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