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CI. 사진=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 CI. 사진=보험연구원

최근 10년간 지방 지역 보험설계사 수가 수도권보다 더 빠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김석영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발표한 ‘전속설계사의 분포와 시사점’ 리포트를 살펴보면 전속설계사 한 명당 담당하는 인구 수는 2020년 기준 대도시가 322명, 지방이 1115명으로 인구 수 대비 설계사 수의 비율이 대도시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전속설계사들이 활동하는 지역을 설계사 수로 나눈 ‘활동범위’는 서울이 0.01㎢, 지방은 6.37㎢로 큰 차이를 보였다.

김 연구원은 “지방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통 사정과 인구의 분산으로 설계사 영업활동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이에 더해 지방의 전속설계사 수는 갈수록 적어져 지방 거주민들의 상품 선택권은 축소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실제 최근 10년간 생명보험사 전속 설계사 수는 수도권과 대도시가 82.7%, 84.3%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지방은 49.1%로 급감했다.

이러한 지역별 설계사 불균형 문제로 지방 지역 보험 수요자들을 위한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연구원은 “온라인채널 활성화 또는 전국적인 조직망을 가진 기존 조직을 활용한 보험상품 판매 등을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지방과 시골에도 조직망을 갖추고 있는 우체국과 농협을 활용하는 식이다.

하지만 두 기관은 현재 자체 보험상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이 기관들의 활용이 쉽지 않고 농어민,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취약계층 중에서도 가장 낮아 온라인채널 보급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김 연구위원은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춘 또 다른 조직인 ‘주민센터‘나 ‘편의점’ 등을 활용하는 것을 제언했다.

은행권에서는 이미 업무 효율화 등을 이유로 지점을 폐쇄하고 금융인프라 부족 지역에 대해 유통업계와 협력한 편의점은행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보험사들은 지리적으로 소외된 계층을 위한 보험대리점 공동 설립 방안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는 은행권에선 소비자 민원에 따라 공동점포를 활성화, 고령층 등 디지털금융 소외계층과 지역주민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점포가 폐쇄된 지역주민들은 고령층 등 취약계층 편의를 위해 대면 서비스 창구를 최소한으로 남겨줄 것을 요청했고 최근 소비자 불편을 고려해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공동점포를 은행권 최초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며 “인구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지리적 특성에 따른 보험소외계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험회사의 다각적인 노력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