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CI. 사진=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 CI. 사진=보험연구원

보험산업의 침체 장기화로 내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가 2.1% 증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김세중 동향분석실장은 지난 6일 여의도 콘레드호텔에서 열린 ‘2023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에서 이같이 전망하며 “장·단기 복합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리스크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의 내놨다.

보험연구원은 ▲국내 인플레이션 단기 해소가 쉽지 않을 전망이며 ▲한국은행과 OECD, IMF가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2.2%로 낮게 제시하고 있는 점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경기침체 발생으로 내년 국내경제 상황이 예상보다 악화될 수 있는 점을 들며 올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기둔화 추세가 2023년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생명보험 수입보험료는 올해 큰 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내년 0.3%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보장성보험은 종신보험 신규 수요 축소에도 갱신 보험료 중심으로 전년 대비 2.3% 성장을, 일반저축성보험은 금리 경쟁력 약화로 인한 저축보험 실적 둔화로 전년 대비 2.0% 감소를, 변액저축성보험은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전망에 따른 신규 수요 축소로 전년 대비 6.9%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손해보험 원수보험료의 경우 상해 및 질병보험을 중심으로 장기손해보험이 4.8% 증가하고 올 상반기 보험료 조정 효과와 온라인채널 확대 등으로 자동차보험이 1.1% 증가, 책임보험 시장 확대와 신규 리스크 담보 확대 등으로 일반손해보험이 전년 대비 5.9% 증가해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내년부터 시행되는 새 국제보험회계기준(IFRS17)과 이를 반영한 신지급여력제도(K-ICS)도 저성장·고물가 우려 속에 보험업계의 리스크를 키울 수 있는 요소로 지목했다.

김해식 보험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은 "보험시장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고 사업모형의 확장성과 역동성,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해 보험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고 경제·금융시장 안정화에 기여하는 장기투자자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국제규범의 시행과 1~2인 가구 비중 증가 등 소비자 구성의 변화라는 수요 불확실성에 대응해 시장혁신을 통한 지속 가능하고 확장성 있는 사업모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