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 서비스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이하 토스)는 알뜰폰 사업자(MVNO) ‘머천드코리아’의 지분 100%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토스는 이번 인수를 계기로, 토스앱을 통한 알뜰폰 가입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알뜰폰 요금제 탐색부터 편리한 개통까지 가입의 전 과정을 혁신하고 가계 고정 지출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통신비 절감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알뜰폰 시장은 지난 2011년 도입 이후, 가입자 규모가 꾸준히 늘어나며 2021년 기준 10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사업자 숫자는 현재 70여 개에 달한다.
토스는 온라인 채널을 통해 주로 가입되는 알뜰폰의 특성상 편리한 가입절차, 사용 유형에 맞는 최적의 요금제, 운영 사업자 브랜드 인지도 등 세가지 요소를 시장 확대의 관건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민영 토스 사업전략리드(Business Strategy Lead)는 “토스가 금융 서비스를 통해 고객 시간과 비용을 아끼고 사회적 효용을 만들어낸 것처럼 알뜰폰 가입 고객의 불편함 해소와 토스 고객의 통신비 절감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토스는 본인확인기관과 전자서명인증 사업자 지위를 모두 보유한 사업자로서, 알뜰폰 가입 과정에서 토스인증서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토스가 인수하는 '머천드코리아'는 지난 1998년 설립 이후 약 20년 간 통신사업을 운영해 왔으며 한국알뜰폰통신사업자협회의 감사를 맡고 있다.
또한 LG유플러스의 1호 알뜰폰 사업자로 선정된 바 있으며 현재 통신 3사와 모두 계약을 맺고 다양한 고객층의 요구에 맞춘 요금제를 운영 중이다.
한편 국내 월 평균 가계통신비는 정부의 알뜰폰사업 도입 이전인 2010년 대비 지난해 기준 10% 인하 수준에 그쳤다.
반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미국은 MVNO 제도 도입 이후, 5년간 약 61%의 요금 인하 효과가 발생했으며, 영국은 3년간 45%, 덴마크는 4년간 50%의 인하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 은행 주도 알뜰폰 시장 달아오른다…신한은행, KT와 손잡고 제휴 요금제 선봬
- 토스, 개발자 컨퍼런스 ‘SLASH 22’ 온라인 개최
- 토스, PC에서 이용 가능한 ‘토스 주민센터’ 오픈
- 토스-KT, 알뜰폰 최초로 가입 단계에 '토스인증서' 도입
- ‘MZ세대=알뜰 세대’…국민은행 리브M 가입자 24만명 훌쩍
- 신한·우리은행 '저신용자 구하기'…원금 감면까지 등장
- [Daily Pick 금융] 신한카드, 하나카드, 삼성증권, 신한라이프, AIA생명 外
- 지속가능한 미래 제시한 KB금융…선한 영향력 담은 보고서 발간
- 우리은행, 해외투자유치 활력 불어 넣는다
- 금융·통신 연합전선 확산…알뜰폰 시장 '전운'
- 토스페이먼츠, FIS와 손잡고 글로벌 기업 대상 결제 서비스 제공
- 토스, 새 로고와 함께 ‘새로운 차원의 금융' 리브랜딩 캠페인
- 토스, 선입견과 싸운 10년 기록 출판
- 토스 ‘데이터보호 준법 자문위원회’ 출범
- “통신의 새 기준”, 토스 통신 서비스 사전신청
- 토스모바일, 요금제 4종 출시… 오픈 기념 프로모션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