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 점포 수 현황.
4대 시중은행 점포 수 현황.

올해 시중은행 점포 폐쇄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4대 은행은 9월말 현재 161개 점포를 폐쇄했다.

지금까지도 상당 수 점포를 없앤 것인데, 아직 폐쇄 예정인 점포만 167개에 달한다.

최근 2년 동안 가장 많은 점포를 줄인 곳은 국민은행이다. 국민은행은 2020년부터 총 273개 점포를 줄었다.

이어 1000개가 넘던 지점 수는 878개로 대폭 줄었다.

하나은행도 같은 기간 111개 점포를, 신한은행은 94개 점포를 폐쇄했다. 우리은행은 80개 점포를 줄이는 데 그쳐 빅4 은행 중 두 번째 많은 지점을 보유한 은행으로 남았다.

시중은행의 점포 폐쇄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매년 점포 폐쇄 개수와 대상지역이 포함된 계획 수립 후 폐쇄 대상점을 선정한다.

은행권 공동으로 마련한 은행권 점포 폐쇄 공동절차는 계획 수립 단계가 아닌 폐쇄 대상점 선정에 중점을 둔 만큼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특히 사전영향평가 시 ATM 운영 등 대체수단이나 지역 내 당행, 타행 유무만을 평가고 있고 동일 행정구역 내 대체 점포가 있는 경우 점포 폐쇄는 언제든지 가능한 구조도 문제란 지적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수도권 대비 고인건비, 저수익 지방지역의 점포 폐쇄로 금융소비자의 지역 간 불편 격차는 더욱 심화됐다”며 “공공성이 아닌 수익성 위주 평가로 중소지방도시, 노령층 거주지역 중심의 점포 폐쇄는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금융노조는 금융당국의 점포 폐쇄 가이드라인 강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단기간 급격한 점포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 영업점 수 대비 연간 폐쇄 가능 점포수로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 시 지역주민과 은행권 노동자가 참여한 협의를 거쳐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이밖에도 지방지역의 경우 동일 행정구역 내 연속적인 점포 폐쇄 금지로 지방지역 금융소비자를 위한 보호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