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시중은행 점포 폐쇄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4대 은행은 9월말 현재 161개 점포를 폐쇄했다.
지금까지도 상당 수 점포를 없앤 것인데, 아직 폐쇄 예정인 점포만 167개에 달한다.
최근 2년 동안 가장 많은 점포를 줄인 곳은 국민은행이다. 국민은행은 2020년부터 총 273개 점포를 줄었다.
이어 1000개가 넘던 지점 수는 878개로 대폭 줄었다.
하나은행도 같은 기간 111개 점포를, 신한은행은 94개 점포를 폐쇄했다. 우리은행은 80개 점포를 줄이는 데 그쳐 빅4 은행 중 두 번째 많은 지점을 보유한 은행으로 남았다.
시중은행의 점포 폐쇄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매년 점포 폐쇄 개수와 대상지역이 포함된 계획 수립 후 폐쇄 대상점을 선정한다.
은행권 공동으로 마련한 은행권 점포 폐쇄 공동절차는 계획 수립 단계가 아닌 폐쇄 대상점 선정에 중점을 둔 만큼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특히 사전영향평가 시 ATM 운영 등 대체수단이나 지역 내 당행, 타행 유무만을 평가고 있고 동일 행정구역 내 대체 점포가 있는 경우 점포 폐쇄는 언제든지 가능한 구조도 문제란 지적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수도권 대비 고인건비, 저수익 지방지역의 점포 폐쇄로 금융소비자의 지역 간 불편 격차는 더욱 심화됐다”며 “공공성이 아닌 수익성 위주 평가로 중소지방도시, 노령층 거주지역 중심의 점포 폐쇄는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금융노조는 금융당국의 점포 폐쇄 가이드라인 강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단기간 급격한 점포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 영업점 수 대비 연간 폐쇄 가능 점포수로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 시 지역주민과 은행권 노동자가 참여한 협의를 거쳐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이밖에도 지방지역의 경우 동일 행정구역 내 연속적인 점포 폐쇄 금지로 지방지역 금융소비자를 위한 보호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 은행권 "은행 점포폐쇄 가이드라인 무용지물…현실성 있는 대책 달라"
- 한국 시장 떠날 준비하는 씨티은행…소비자금융 폐지 결정
- 노인을 위한 금융은 없다…60대 고령자, 인터넷은행 이용률 3.65%
- 은행원 떠난 자리, 인공지능 앉았다…신한은행 ‘디지털라운지’ 선봬
- 시중은행, 6개월 새 90개 지점 문 닫았다
- SGI서울보증, 우수 중소기업 위한 대출보증 지원 강화
- 우리은행, 베트남 현지서 파생상품 판매한다…환율변동 리스크 헷지 제공
- 하나은행, 산업·기술·물류·금융 연계한 新플랫폼 시대 열었다
- 송종욱 광주은행장 향토은행 자존심 지켰다…광주시 남구청 금고 재탈환
- 창구 차지하는 ‘AI 은행원’… 업무는 물론 일상대화까지
- 은행권에 부는 효율화 바람…저축은행도 점포 줄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