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은행이 중소기업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모페이션에 필요한 기술과 금융을 동시에 지원하는 새로운 B2B 플랫폼 시대를 열었다.
하나은행은 12일 포스코 인터내셔널, 포스코 A&C, 다쏘시스템, 형경산업과 함께 ‘산업·기술·물류·금융 연계 B2B 플랫폼’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그동안 각 기업의 축적된 역량과 플랫폼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이종 산업 간 비즈니스 모델의 시스템 융합을 시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신설 법인의 설립 및 발전과 기업과 금융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OZO 플랫폼’을 구현할 계획이다.
최근 산업 기술의 급속한 성장과 이로 인한 플랫폼의 일반화 및 빅테크 기업의 시장 진출에 따라 전 산업 영역에서 플랫폼 기업으로 빠르게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과 자금력 등 우수한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OZO 플랫폼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중견기업에게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ZO 플랫폼을 통해 협약에 참여한 기업은 지난 수 십년 동안 축적해 온 각 회사의 디지털 역량과 노하우를 연결해 산업별 필요한 핵심기술과 편리하고 효율적인 구매·결제시스템, 프로세스 내 필요한 금융인프라 등 모두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OZO 플랫폼을 기존 B2C 플랫폼과 달리 철저하게 기업 중심의 B2B 플랫폼으로 활성화함으로써 특정 기술 또는 특정 사업에 국한된 협력이 아닌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역량이 되는 요소들을 융합해 지속 경영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OZO 플랫폼이 지원하고자 하는 중점 산업으로는 산업용 장비, 전기 자동차, 에너지, 건설 산업 등이다.
건설의 경우 단일 중소·중견 건설사의 역량으로는 추진 불가한 건설 Modular 및 DfMA(Design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y)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사업에 대한 플랫폼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하나은행 CIB그룹 박지환 부행장은 “하나은행은 은행 중심으로 제공하던 고전적 금융서비스 방식을 탈피해 금융과 산업이 협업함으로써 맞춤형 기술과 금융을 동시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첫 번째 지원 사업으로 OZO 플랫폼 이용 기업에게 구매대금 결제를위한 결제시스템과 구매 자금을 지원하고 하도급 중소·영세기업의 자금 유동성을 제고하기 위한 상생결제시스템을 연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