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국정감사에선 빅테크에 대한 성토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각 상임위원회는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의 CEO를 증인으로 예고했다.
현재까지 정무위원회와 환경노동위원회가 네이버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카카오 김범수 의장을 국감 증인으로 확정했다.
이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도 증인 채택이 유력한 상황이다.
먼저 국감 첫 날인 5일 정무위원회부터 빅테크 CEO가 출석해야 한다.
정무위는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 때 카카오 김범수 의장을 불러 플랫폼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현황에 대해 질의할 예정이다.
특히 문어발식 사업확장과 독점적 시장구조에 따른 이용자 수수료 상승에 대한 질타가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계열사 신고 누락, 경쟁 계열사 인수합병, 기업집단 현황 불공성 공시에 대한 의원들의 질문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무위 국회의원들은 빅테크 기업이 혁신보다 과도한 수수료 착취로 골목상권을 위협한다며 압박수위를 높일 방침이다.
같은 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도 네이버 한성숙 대표와 카카오 여민수 대표를 동물용 의약품의 온라인 불법 거래와 관련한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또 통신판매중개업자로서 원산지 표시를 위반했다는 명분으로 네이버쇼핑 김정우 대표를 증인으로 불렀다.
네이버 이해진 GIO는 환노위에서 곤욕을 치룰 전망이다.
내달 6일 열린 고용노동부 국정감사 때 네이버의 직장 내 괴롭힘 등 조직문화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5월 네이버 소속 40대 남자 직원이 자살하면서 그동안 감춰졌던 네이버의 조직문화가 도마 위에 올랐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 역시 주 52시간 근로제 위반으로 인해 증인 출석이 예고된 상태다.
- 은행 총파업 10월 15일 예고…금융노조, 쟁의행위 강도 높여
- 금감원, DLF 행정소송 항소키로…‘정치 바람’ 편승 무리수
- 노조 파괴 공작 의혹… 허영인 SPC그룹 회장 국감 증인 나오나
- '진퇴 양난' 카카오 김범수...시가총액 13조 떨구고, 검찰 고발 위기에 국감 소환 추진까지
- 기업 총수, 지분 3.5%로 계열사 지배…사익편취 사각지대 회사도 증가
- 코스피, 추석 앞두고 반등 성공…3140선 회복
- 신한금융-도로교통공단, 전화금융사기·교통사고 예방 협력키로
- 우리은행, 기업승계 TAX컨설팅 가동…세무·재무·회계 전문가 원팀 구성
- 공정위, 3년 동안 대기업 과징금 1429억 부과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산 수산물 年 3만톤 수입… 60% 국내산 둔갑
- 이제 국민 3명 중 1명은 카카오뱅크 쓴다
- 신용보증기금, 中企 취업지원 다리 역할
- 금융기업-빅테크 간 규제 차별 커져…"규제 완화 더이상 안된다"
- 대형 플랫폼 수장들 '수난'...국감 소환된 카카오 김범수, 네이버 한성숙 연신 "죄송"
- 카카오, 반년 만에 주가 71% 급락하며 주주들 '원성'...심각한 경영진 리스크
- 금호석화·DB그룹·코오롱 등 오너일가 자녀 경영 전면에… 오너경영 힘 실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