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금융감독원. 사진=뉴스저널리즘

금융감독원이 9014개 사모펀드에 대한 자율점검을 실시한 결과 투자자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는 사례는 없다고 발표했다.

6일 금감원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업계 자율점검 결과 및 전문사모운용사 검사 진행상황을 발표했다.

이번 점검은 판매사·운용사·수탁기관·사무관리회사 총 353곳의 상호협조를 통한 자율점검으로 이뤄졌다.
 

금융감독원 사모펀드 자율 점검 결과. 사진=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 사모펀드 자율 점검 결과. 사진=금융감독원

또한 ▲사무관리회사·수탁기관 자산명세 일치 여부 ▲펀드 투자재산 실제 보유 여부 ▲집합투자규약·투자설명자료 및 펀드 운용 정합성 등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이 결과 전체의 6.5%인 652개에 달하는 펀드에 심층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됐다.

하지만 금감원 조사에 따르면 대규모 피해를 유발하거나 투자자 피해에 직결될 중대한 위법행위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지난해 7월 출범한 전문사모운용사전검사단 역시 전문사모운용사를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진행했다.

금감원은 관련 운용사에 대한 제재절차가 완료됐고 진행 중이며 환매연기 상황 모니터링을 통한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검사단은 전체 233곳 중 비시장성 자산이 과다하거나 환매 중단 등 리스크가 높은 운용사 37곳을 선정해 우선 검사를 진행했다.

이 결과 대표이사 등이 펀드 보유 비상장주식을 가족 계좌 등을 통해 저가매수 하는 펀드 이익 훼손금지 위반 등의 혐의를 발견했으며 제재절차를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전문사모운용사 전수검사 시 점검항목 외에도 불건전 영업행위 발생 가능성을 면밀히 살필 것”이라며 “사모펀드 시장의 건정성 확보 및 신뢰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