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금리 상승세가 본격화하면서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년 만에 6% 선을 돌파했다. 부동산 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대출 문턱이 한층 높아지는 모습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4일 기준 주담대 혼합형 금리는 연 3.930~6.060%를 기록했다. 4대 은행에서 6%대 혼합형 금리가 나온 것은 2023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지난 8월 말 연 3.460~5.546%와 비교하면 상단이 0.514%p, 하단이 0.470%p 각각 뛰었다.
금리 상승은 지표 변동에 따른 결과다. 같은 기간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0.563%p 상승하면서 혼합형 금리도 동반 상승했다. 신용대출 금리는 연 3.520~4.990%에서 3.790~5.250%로 올랐다. 상단 0.260%p, 하단 0.270%p 상승폭이다. 지표인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338%p 오른 영향이다.
변동금리 상품도 예외가 아니다. 신규 코픽스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770~5.768%를 나타냈다. 상단 기준으로 8월 말보다 0.263%p 상승한 수치다. KB국민은행은 17일부터 주담대 주기·혼합형 금리를 5년물 금융채 상승 폭인 0.09%p만큼 추가 인상한다. 이에 따라 해당 상품 금리는 4.11~5.51%로 조정된다. 시장금리를 주 또는 일 단위로 반영하는 다른 은행들도 상승분을 속속 반영할 계획이다.
예금금리 역시 상승 국면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12개월 만기 예금상품 금리는 최근 두 달 사이 0.3%p 이상 올랐다. 5대 은행 평균 금리는 8월 29일 연 2.46%에서 10월 31일 2.6%로 높아졌다. 이달 들어서는 매주 상승세를 이어가 14일 기준 2.782%에 달한다. 기준금리가 2.5%로 동결된 가운데 은행 예금금리가 두 달 반 만에 0.322%p 뛴 것이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은행 NH올원e예금이 2.86%로 가장 높다.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과 우리은행 우리WON플러스예금은 각각 2.8%다. 신한은행 쏠편한정기예금은 2.7%, KB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도 연 2.7%를 적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