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GI서울보증은 지난 14일 발생한 시스템 장애의 원인을 랜섬웨어 공격으로 최종 확인했고 신속한 복구 및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해 모든 역량을 동원해 나가겠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장애는 14일 새벽 회사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한 이상 징후로부터 시작됐다. 금융보안원 등 전문기관 공동 조사를 통해 랜섬웨어 공격에 의한 것임을 확인했다고 SGI서울보증은 설명했다.
SGI서울보증은 즉시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한 여러 대응에 나섰으며, 특히 전세대출·휴대폰 할부 개통시 은행·통신사 등과 협력해 보증서를 사후 보완하는 방식으로 긴급 정상화해 운영 중이다.
먼저 전세대출·주택담보대출(MCI) 관련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14일 금융기관들이 선 대출 사후보증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또 지속적인 모니터링 결과 일부 시중은행 전세대출 등의 신규청약 상담거절 사례가 있어 해당기관과 추가 협의를 진행했다. 이날 모든 시중은행은 SGI서울보증 전세대출·MCI 등 신규 상담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휴대폰 할부보증과 관련해서도 지난 14일 통신 3사와 협의해 선 개통·후 보증으로 정상 개통이 가능하도록 조치 완료했으며 번호이동 및 신규개통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각 지점과 출장소에서는 공탁·입찰보증서 등 서민과 중소기업에 긴급히 필요한 보증서를 수기 발급해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한편, 각 지점에서 접수된 고객 민원은 지점은 물론 본사 차원에서 일괄 취합했다. 전국 지점·출장소·고객지원센터(콜센터)를 민원센터로 전환했다.
SGI서울보증은 이번 장애로 인한 피해 고객 및 기업에 대해서는 사실관계가 확인되고, 피해 금액이 확정될 경우 전액 보상할 예정이며, 이를 위한 전담 창구로 피해신고센터를 내일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이명순 SGI서울보증 대표이사는 "고객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전사가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고객 피해는 책임있는 자세로 보상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보안시스템 재정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SGI서울보증, 시스템 장애 긴급 대응
- SGI서울보증, 한국예술종합학교에 기부금 전달
- '상장 바람' SGI서울보증…고배당 위한 숙제는
- SGI서울보증보험, 유가증권 시장 상장
- SGI서울보증보험, 지난해 보험사기 의심 190건 적발
- SGI서울보증, 상장 위한 증권신고서 제출…"공적자금 회수 위해 최선 다할 것"
- SGI서울보증, 16일 오전부터 '피해신고센터' 운영 개시
- SGI서울보증, 주요 전산 복구 및 보증서 발급 재개 예정
- '전세사기 배드뱅크' 시동...금융위, 피해주택 채권 실태 조사
- 단통법 11년 만에 폐지...통신사 보조금 경쟁 신호탄
- SGI서울보증, 사잇돌 대출에 네이버페이 스코어 적용
- [단독] '스페셜포스' 드래곤플라이, 랜섬웨어 해킹 공격 받아
- SGI 해킹한 랜섬웨어 조직 "민감 정보 갖고 있다"…데이터 전량 공개 예고
- 내부 통제 우려 SGI서울보증, 국감 몰매 위기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