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I 해킹 주장 해커, 다크웹에 '데이터베이스 전량 공개' 예고글 게시. 사진=건라 다크웹 캡쳐
SGI 해킹 주장 해커, 다크웹에 '데이터베이스 전량 공개' 예고글 게시. 사진=건라 다크웹 캡쳐

SGI서울보증이 대규모 해킹 피해로 골머리를 앓은 만큼 올해 국정감사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직 개인정보 유출 정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인사 문제에 이어 화두로 지목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SGI서울보증은 지난 7월 랜섬웨어를 통해 VPN 취약∙내부통제 부실로 대규모 해킹 피해를 겪었다. 

해당 피해 데이터 규모는 최대 13.2테라바이트(TB)로 예상되며 아직 공식 확인 개인정보 유출 피해는 없지만 업계는 실질적인 유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에서 관련 처벌 강화를 예고한 만큼 SGI서울보증이 국정감사 출석 대상으로 지목될 것으로 보고 있다.

SGI서울보증의 해당 피해는 국내 전체 해킹·랜섬웨어 사건 중 최대 규모의 데이터 탈취·서비스 마비 사례로 평가된다. 

여기에 3일 이상 업무가 중단되고 전산망이 마비되는 후속 피해까지 따라오면서 금융권 보안체계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금융당국은 보안 체계가 미흡해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 징벌적 과징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특히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2025 국정감사 이슈 분석:정부가 답해야할 국민의 질문' 보고서를 통해 해킹 사례 등의 보안 위협을 경고했다.

입법조사처가 국정감사 최대 이슈 중 하나로 한국연구재단과 SKT의 해킹 사건을 꼽은 만큼, 금융권의 해킹 사례 역시 국정감사를 통해 재조명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미 SGI서울보증은 지난해 김대남 전 상임감사 인사문제로 정무위원회에 지적을 받는 등 올해까지 연이어 국정감사 화두가 될 위기를 마주했다.

SGI서울보증 관계자는 "대용량 내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은 현재까지 확인된 바 없다"면서 "외부에서 내부까지 이어지는 모든 접점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회사보안체계를 강화하는 등 침해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