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케이뱅크
사진=케이뱅크

케이뱅크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해외송금 기술검증(PoC)에 참여한다. 디지털 자산 기반의 송금 시스템 검증을 통해 관련 기술과 제도화 가능성을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케이뱅크는 10일 일본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환경을 활용한 국제 공동 실험 프로젝트 ‘팍스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험은 한·일 양국 간 은행 시스템을 연동하고,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실제 무역 환경에서의 송금 절차를 기술적으로 검토한다. 프로젝트는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진행되며,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C), 페어스퀘어랩 등이 함께 참여한다. 

팍스프로젝트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해외송금, 환전, 역외 결제 등 실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협력 프로젝트로, 기존 송금 방식의 수수료와 처리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핵심 목적이다.

케이뱅크는 이번 실험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스테이블코인 모델을 검토하고, 발행 및 활용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케이뱅크는 토큰증권(STO), 블록체인 월렛, NFT, 스테이킹 등 관련 기술의 PoC를 통해 디지털 자산 기반 기술 내재화를 진행하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향후 법제화 이후 활용 가능성에 대비하겠다”며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