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의 예술창작활동 개인 소득.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예술인의 예술창작활동 개인 소득. 사진=문화체육관광부

국내 예술인들의 연간 예술활동 수입이 평균 1000만원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 예술인 비율도 50%를 약간 넘는 수준에 불과해, 예술인들을 위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6일 발표한 '2024년 예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예술인 1인당 평균 연소득은 105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해 기준 국민 1인당 평균 연소득인 2554만원의 41.3%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예술인이 속한 가구 1곳당 평균 연소득도 4590만원으로 전국 평균 연소득인 6762만원보다 약 2200만원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분야에 따라 수입 격차도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 분야는 연간 4261만원의 소득을 올려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만화(2684만원)와 방송·연예(2485만원) 분야도 2000만원을 상회하는 소득을 기록했다. 반면 음악(901만원), 무용(802만원), 미술(603만원), 문학(454만원), 사진(334만원) 분야는 연간 소득이 1000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업 예술인 비율.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전업 예술인 비율.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소득이 적어 예술인 2명 중 1명은 부업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업 예술인 비율은 2021년 55.1%에서 2.6%p 감소해 52.5%였고, 전업 예술인 중 자유계약자(프리랜서) 비율은 61.7%였다.

예술인 중 자신이 만든 저작물을 통해 저작권 수입을 올린 비율은 29.1%에 그쳤다. 저작권과 관련된 침해나 분쟁을 겪은 예술인은 전체의 7.5%였으며, 만화(20.2%) 분야가 가장 높았고, 이어서 문학(10.5%), 건축(10%) 순으로 나타났다.

또 예술인 중 1년 이상 예술활동이 단절된 상태인 '예술경력 단절' 경험자는 23%로 나타났다. 주된 이유로는 '예술활동 수입 부족'(65.5%), '출산·육아'(13.9%) 순으로 꼽혔다.

예술인들 중 계약을 맺어 예술 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57.3%로 조사됐다. 이들 중 86.6%는 서면으로, 13.4%는 구두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예술인의 7.3%가 불공정한 계약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불공정 사례로는 '계약조건과 다른 내용 강요'가 63.0%로 가장 많았고, '적정한 수익배분 거부·지연·제한'이 38.3%로 그 뒤를 이었다.

예술인 저작권 보유 현황.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예술인 저작권 보유 현황. 사진=문화체육관광부

한편 국내 예술 환경에서 여성 예술인들이 남성보다 불리한 처우를 받는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19.2%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이 불평등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8.3%였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여성 불평등' 응답률이 높았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남녀 평등' 응답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문체부의 '예술인 실태조사'는 예술인복지법에 따라 3년마다 실시된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예술인 5059명을 대상으로 1대 1 면접, 온라인, 전화 조사 방식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두 달간 진행됐으며, 조사 기준시점은 2023년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셈터 누리집과 문화예술지식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