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서울스퀘어 모두미술공간 세미나실에서 두 번째 '오후 3시의 예술정책 이야기'를 열어 서울 도심에 공연예술벨트를 조성·운영하는 방안을 토론한다고 이날 밝혔다.
서울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국립극장, 국립정동극장, 명동예술극장 등 주요 국립 공연시설 간 연계로 공연예술벨트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토론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한다.
먼저 서계동과 남산, 정동, 명동 등 서울 도심 한가운데 공연장과 창·제작 공간을 연이어 조성·개선해 공연예술산업 전반을 발전시킬 계획을 공유한다.
문체부는 서울역 인근에 공연장(4개소)과 전시관, 공연전문도서관 등에 쉽게 접근해 즐길 수 있는 '서계동 복합문화공간'을 2030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또 남산에 공연예술창제작공간을 조성, 국립극장과 연계해 공연연습실, 스튜디오, 무대제작소 등을 포함한 '남산공연예술벨트'를 2026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국립정동극장은 공연장(2개소)과 편의시설을 늘리기 위해 2029년까지 재건축하고, 명동 관광특구 중심에 있는 명동예술극장은 더욱 많은 국민과 관광객이 찾을 수 있도록 인문학 아카데미와 공연 프로그램을 다각화하고 엘이디(LED) 조명설치 등 야외광장 개선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신은향 문체부 예술정책관은 "앞으로도 다양한 현장에서 소통하며 '공연예술벨트'를 예술인 창·제작의 산실과 국민문화 향유 확대, 공연예술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의 토대가 되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