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이 소장한 '의친왕가 복식'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의친왕가 복식'은 의친왕비 연안 김씨가 의친왕의 다섯째 딸 이해경 여사에게 전해준 것으로 왕실 여성의 예복 중 겉옷인 원삼과 당의, 스란치마, 머리에 쓰는 화관, 노리개, 궁녀용 대대로 구성돼 있다.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이 이해경 여사로부터 기증받아 소장하고 있다.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긴 형태로, 양옆 겨드랑이 아래가 트여 있는 겉옷인 '원삼'은 소매와 옷자락에 '수복'(壽福) 글자와 꽃무늬가 조합된 문양을 장식했다.
부금(의복 표면에 금박 문양을 입히는 전통 공예 기술)해 장식한 녹원삼으로 왕실 여성들이 착용했던 원삼의 양식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원삼처럼 양옆이 트인 형태의 겉옷인 '당의' 역시 부금 장식과 용보를 갖춘 전형적인 왕실 당의로서, 특히 용보가 온전히 남아 있다는 점에서 지정 가치가 높다.
또 '스란치마'는 아홉 마리 봉황으로 구성된 구봉문이 부금된 것으로, 기존에 알려진 바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구봉문 도안이 확인돼 조선 왕실 복식의 다양성을 보여 준다.

왕실 여성들이 당의를 착용할 때 머리 위에 썼던 '화관'은 두꺼운 종이로 만든 틀에 비단, 금종이, 옥 장식 등을 붙이고 좌우에 비녀를 꽂아 장식한 것이다. 왕실 여성이 예복을 입을 때 어떤 모자를 썼는지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의복과 장신구는 유래가 명확하고 착용자의 지위에 따른 궁중복식의 특징과 다양성을 보여 주는 실물 자료로서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의친왕가 복식'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 한국전통문화대, 전통회화 기획전 '청사진' 개최
- 국가유산청, 궁궐·조선왕릉 폭설 피해 1025건…"복구 완료"
- 태조 이성계 무덤의 '혼유석·고석'…24일부터 실물 전시
- 궁궐·조선왕릉 방문객 1489만명…전년비 52만명 증가
- 국가유산청, 경복궁 '왕비 침전'에 걸려있던 부벽화 모사도 한시 공개
- 국가유산청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등재 기념행사 개최
-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국보 지정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어린이 그림책 '지붕에 올라간 용, 취두' 발간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
- 국가유산청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 등 3건 보물 지정 예고
-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과 '범어사 괘불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 6.25 전사자 유품 보존 처리한 이재성 학예연구사 대통령 표창 수상
- 제66회 3·1문화상에 이석구·임대식·허달재·심상준 선정
- 달항아리부터 반가사유상까지…박물관 '최애 유물'에 '유물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