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7합5작 가로긴 목제 되)'과 '부산 범어사 괘불도 및 괘불함'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했다고 30일 밝혔다.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7합5작 가로긴 목제 되)'은 1902년 평식원에서 제정한 도량형 규칙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1905년 농상공부 평식과의 도량형법에 따른 약 1350㎤에 해당하는 부피인 칠합오작을 기준으로 하는 되(升)다.
도량형은 길이, 부피, 무게 따위의 단위를 재는 법을 뜻하며, 농상공부는 1895년 농업·상업·공업 등의 행정을 관장하던 기관이다.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7합5작 가로긴 목제 되)'에는 공인기관의 검정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 쇠붙이로 만들어 불에 달구어 찍은 도장인 '평(平)'자 화인(火印)이 확인됐다.

같이 등록 예고된 '부산 범어사 괘불도 및 괘불함'은 1905년 금호약효 등 근대기를 대표하는 수화승들에 의해 제작된 대형 불화와 이를 보관하는 함이다. 부산 범어사는 가로 610㎝, 세로 1080㎝ 크기의 대형 불화다.
괘불도 하단에는 장문의 묵서로 화기가 기술돼 있으며, 화기 첫 부분에 대한광무 9년(1905년)에 조성됐다는 사실과 함께 총 16명의 화승 이름이 기록돼 있다.

괘불도를 보관하는 함인 괘불함은 대웅전 후불벽 뒤 공간에 보관돼 왔다. 괘불도와 같은 금속 재질의 문양 장식이 있어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국가유산청은 "전통불화 도상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음영기법을 적극 활용한 20세기 초의 시대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 근대기 불화 연구에 이정표가 될 만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의 예고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 국가유산청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 등 3건 보물 지정 예고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어린이 그림책 '지붕에 올라간 용, 취두' 발간
-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국보 지정
-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의친왕가 복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 한국전통문화대, 전통회화 기획전 '청사진' 개최
- 6.25 전사자 유품 보존 처리한 이재성 학예연구사 대통령 표창 수상
-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 국가지정 명승 된다
-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20주년 기념 문화상품 꾸러미 100명 선착순 증정
- 국가유산청 '제7기 현충사 청소년 국가유산 지킴이' 50명 모집
- 국가유산청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국보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