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지난달 27일부터 28일 사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내린 폭설로 궁궐과 조선왕릉의 수목들이 입은 피해를 산림청과 협력해 복구를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복구가 마무리됨에 따라 지난달 28일 경복궁이 정상 개방을 재개한 데 이어 현재는 4대 궁과 조선왕릉 모든 구간의 관람이 재개됐다.
다만 고양 서오릉, 화성 융릉과 건릉, 서울 태릉과 강릉,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정릉, 서울 의릉, 여주 영릉과 영릉 등 왕릉 숲길 일부 구간은 관람이 제한된다.
11월 폭설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궁궐과 조선왕릉의 수목들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혀 넘어지거나 가지가 부러지며 주변 시설물에 피해를 준 사례가 약 1025건(궁궐 122건, 조선왕릉 903건)에 달했다.

국가유산청은 비를 머금어 일반 눈보다 약 3배나 무거운 습설이 내린 탓에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소나무같은 상록수들이 많은 궁궐과 왕릉의 수목들이 특히 큰 피해를 입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폭설 피해 발생 직후, 추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궁궐과 조선왕릉의 관람을 일시 중지하고, 궁능유적본부 직영보수단을 긴급 투입해 제설과 시설물 보수, 피해목 벌채 등 피해복구 작업을 실시했다.

안전한 개방을 위한 관람로 정비와 벌채목 처리 등 지원을 위해 긴급 예산 4억 200만 원을 투입했다.
특히 수목 피해가 컸던 조선왕릉의 경우 산림청의 지원 인력 14명과 차량 3대를 지원받아 약 2주간 서울 선릉과 정릉 등 6개 조선왕릉 경관림에서 500여본의 피해목을 제거했다.
국가유산청은 "반복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관람로와 고건물 주변의 위험목을 사전에 제거하고 관련 시설을 보완하는 등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 태조 이성계 무덤의 '혼유석·고석'…24일부터 실물 전시
- 궁궐·조선왕릉 방문객 1489만명…전년비 52만명 증가
- 국가유산청, 경복궁 '왕비 침전'에 걸려있던 부벽화 모사도 한시 공개
- 국가유산청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등재 기념행사 개최
- 목포해양유물전시관, 배리어 프리 체험 콘텐츠 선보여
- 국가유산청, 내년 예산 1조3875억원…올해보다 1.6% 증가
-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의친왕가 복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국보 지정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어린이 그림책 '지붕에 올라간 용, 취두' 발간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
- 국가유산청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 등 3건 보물 지정 예고
- 국립수목원 '한반도 수목지' 시리즈 10권 완간
- 산림청, 제80주년 식목일 기념 포스터 공모전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