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10명 중 9명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24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 최근 1년간 국민의 89.3%(4495명)가 유·무료 OTT 플랫폼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유료 OTT 플랫폼 이용률은 53.4%로 전년 대비 1.8%p 하락한 반면, 무료 OTT 플랫폼 이용률은 국민의 85.1%가 이용해 6.9%p 상승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유튜브(84.9%)였으며, 유료 서비스에서는 넷플릭스(44.4%), 티빙(17.0%), 쿠팡플레이(14.8%) 순이었다.
OTT 이용자들의 월평균 구독료 지출도 감소했다. 유료 OTT 이용자의 한 달 평균 지출액은 1만500원으로 전년보다 1500원 줄었다. 다만 넷플릭스와 티빙 이용자의 24.6%는 광고요금제를 이용 중이며, 이들 중 85.2%는 광고요금제를 계속 유지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한편 무료 OTT 플랫폼 이용자의 69.6%는 숏폼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숏폼 콘텐츠 시청 이유로는 '짧은 시간에 여러 개를 시청할 수 있어서'(68.4%), '자투리 시간에 시청할 수 있어서'(59.7%), '흥미로운 영상이 연속으로 재생돼서'(54.2%) 순으로 꼽혔다.
또 숏폼 콘텐츠 이용자들은 처음부터 숏폼으로 제작된 오리지널 숏폼(78.6%)을 기존 콘텐츠를 숏폼으로 편집한 재가공형 숏폼(59.7%)보다 더 선호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국민 OTT 플랫폼과 콘텐츠 이용행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전국 10세 이상 국민 5033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7일부터 8주간 대면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2024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보고서는 오는 20일부터 콘텐츠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드라마 제작비 '훌쩍'…16부작 자취 감추나
- OTT 앱 사용률 1위 넷플릭스…단독 사용자 비율도 가장 높아
- 문화체육관광부 '누누티비' 불법 운영자 검거
- 세로로 1분 30초면 끝...'숏드라마' 확산
- 필리핀서 불법 아이피티브이 운영자 검거
- "저작권 축제의 달, 인식 확대하고 대응 강화해야"
- 넷플릭스 애니, 가라테를 태권도로 더빙번역…서경덕 교수 시정 촉구
- 티빙-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제휴 내년 3월 종료
- "날카로움 잃었다", "더 몰입감 있다"…'오징어 게임 2' 해외 평단 엇갈려
- 태국·말레이시아 등 동남아…K콘텐츠 이용 의향 높아
- 남다른 좀비물 '뉴토피아'…재난 속 작은 희망 그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