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2가 26일 전 세계 공개된 가운데 시즌1에서 보여준 참신함과 날카로운 주제의식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평이 해외 언론들 사이에서 주를 이루고 있다.
미국의 주요 매체들은 26(현지 시각) 시즌2 공개 직후 리뷰 기사를 공개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는 이날 '오징어 게임이 빨간불을 켰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넷플릭스 히트작의 두 번째 시즌은 더 스타일리시한 살육을 보여 주지만, 이야기는 정체돼 있다"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시즌1을 본 사람이라면 이미 봤던 것들을 또 보게 될 것"이라며 "시즌2는 이야기를 이어가면서도 7시간 동안 그것을 확장하는 데는 별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게임이 돌아오면서 새로운 반전이 가미된 피 튀기는 광경이 반복되지만, 똑같은 역학 구도 안에서 기쁨보다 고통이 훨씬 더 많다"고 비평했다.
영화 전문지 할리우드리포터도 이날 "넷플릭스의 한국 히트작이 그 날카로움(edge)잃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오징어 게임'의 두 번째 시즌은 완정히 실망스러웠다"며 "첫 번째 시즌에서 보여준 재미와 기발함이 부족했고, 게임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디테일이나 통찰력도 결핍됐다"고 평했다.

미 일간 USA투데이도 "'오징어 게임 2'는 여전히 폭력적이지만, 충격적이기보다는 실망스럽다"며 "시즌2는 여러 측면에서 시즌1과 동일하지만, 예전만큼 날카롭지 않고 독창성이 사라졌다. 황동혁 감독이 얘기한 반자본주의적인 메시지를 전달하지도 못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미 영화전문매체 버라이어티는 "'오징어 게임' 시즌2는 더 피가 튀고, 더 방대하며, 극도로 몰입하게 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시즌2는 자본주의적 착취, 도덕성의 훼손, 계급 불평등 같은 현대 한국 사회를 괴롭히는 것으로 보이는 것들을 새로운 각도로 조명함으로써 시즌1과 반복되는 점을 대부분 뛰어넘었다"고 호평했다.

국내 평론가들도 지난 26일 "시즌2가 전작만큼의 화제성을 얻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보는 이의 취향에 따라 호불호는 갈리겠지만, 글로벌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았던 시즌1의 장점을 살려내면서도 새로운 소재를 버무려 차별화된 재미를 전한다는 것이 평론가들의 공통 의견이다.
강병진 영화평론가는 "이번 시즌에서는 시즌1에서 잠깐 스쳐 지나가듯이 보여준 캐릭터들의 서사를 확장해서 풀어낸다"며 "딱지맨(공유), 프론트맨(이병헌)을 비롯해 참가자들과 게임 진행요원들에 대한 이야기도 풍부하게 풀어내며 시즌3를 기대하게끔 만든다"고 평가했다.
김현수 대중문화평론가도 "게임보다 투표 과정에 대한 묘사가 더 많을 정도로 드라마는 찬반 투표를 중요한 소재로 다뤄내는데, 협력과 배신 등 참가자들 간의 갈등 양상이 지난 시즌에 비해 더 많이 부각돼서 보는 재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오징어 게임 2'에 대한 평이 엇갈리고 있다. 시청자 리뷰 게시물은 아직 30여개가 올라운 가운데 "시즌2도 시즌1만큼 매혹적이다", "걸작이다" 등의 호평과, "시즌1에 비해 약하다", "볼 만하지만, 시즌 1에는 훨씬 못 미친다"는 비평이 이어지고 있다.
- 넷플릭스 애니, 가라테를 태권도로 더빙번역…서경덕 교수 시정 촉구
- OTT 이용률 89.3%…국민 10명 중 9명이 시청
- "플랫폼이 살아야 제작사가 산다" [인터뷰]
- 드라마 제작비 '훌쩍'…16부작 자취 감추나
- 넷플릭스, 한국문학번역원과 영상 자막 인재 양성 프로그램 진행
- OTT 앱 사용률 1위 넷플릭스…단독 사용자 비율도 가장 높아
- "가족·친구·연인과 보면 10배 재미"…'히트맨 2', 더 큰 웃음으로 돌아오다
- 오징어 게임2, 공개 이틀만에 93개국 1위로 집계
- 훨훨 비상한 'K-라면' 삼양·농심…새해에도 뛴다
-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 1위 '마당을 나온 암탉' 4K 개봉
- '오징어게임2 효과'…넷플릭스 앱 사용자 역대 최대
- '오징어 게임2' 2주 연속 글로벌 시청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