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부산형 워케이션 활성화 사업' 인포그래픽. 사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 '부산형 워케이션 활성화 사업' 인포그래픽. 사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부산형 워케이션 활성화 사업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월부터 올해 7월까지 총 2289명이 참여해 분석 기간 동안 평균 114만원을 소비했다고 3일 밝혔다.

'부산형 워케이션 활성화 사업'은 부산 내 인구 감소 지역을 중심으로 부산 외 지역 거주자가 부산에 머물며 근무할 수 있도록 기반 여건을 조성하고 △숙박 지원 △관광 바우처 지급 △교류 지원 등을 통해 생활인구 유입을 유도한다.

시가 3일 발표한 사업 분석 연구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7월까지 휴가지 원격근무 숙박시설을 이용한 총 1137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생활인구는 부산에서 1박 이상 체류한 참가자 및 그 동반인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해당 기간 동안 사업 총 참가자는 2289명, 숙박과 업무시설을 모두 이용한 참가자는 1137명이며, 주요 참가자는 근속연수 7년 미만의 20·30대 청년이 80% 이상, 거주 지역은 서울·수도권 지역이 약 88%로 압도적이었다. 근무 분야는 주로 정보통신기술(ICT), 온라인 서비스 및 유통 등 원격 근무가 용이한 직군인 경우가 높았다.

원격 근무 참여 동기는 △기존 업무 환경 환기 △부산시 업무 환경 전환 지원 프로그램 △풍부한 볼거리 △먹거리 △편리한 교통환경을 꼽았다. 프로그램 참여 결과 에너지 재충전과 워라밸 향상 등 지역 인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와 함께, 해당 사업으로 유입된 생활인구도 동반 인원 포함 총 1748명으로, 분석 기간 중 참가자가 부산에서 지출한 총 금액은 1인 평균 114만원, 지역 직접소비효과는 약 13억원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