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전라북도 군산과 충청남도 부여에 위치한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와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를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각각 지정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는 2개의 나무는 오래된 자연물인 노거수가 갖는 역사적 가치와 우리나라 고유의 생활·민속의 깊은 연관성, 우수한 규모와 아름다운 모양 등을 고려해 지정예고됐다.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는 원래 섬 지역이었던 전북 군산 옥서면 하제마을에 위치해 있다. 하제마을은 1900년대 초부터 간척사업으로 육지화되고 군사시설 등이 들어서며 마을 주민들이 떠나고 팽나무만이 마을을 지키고 있다.
하제마을 팽나무는 지난 2020년 기준 537(±50)살로 측정돼, 생장추로 수령을 측정한 팽나무 중 가장 나이가 많다. 나무높이 20m, 가슴높이둘레 7.5m로 규모도 크다. 나무 밑둥으로부터 3m 높이에서 남북으로 갈라져 평야를 배경으로 하는 타원형의 수형이 아름다우며 생육상태도 우수하다.
하제마을 팽나무는 과거 배를 묶어두던 기둥인 계선주(繫船柱)와 마을 주민들의 안녕을 기원하는 역할을 했으며, 하제마을의 성쇠를 지켜봤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다.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는 과거 부여 석성현에 있었던 관아의 일부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석성동헌'의 내삼문 오른쪽에 자리했으며, 조선시대 지방 관아 건물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탱자나무 노거수다.
나무높이 4.8m, 나무너비 6.8m로 탱자나무로는 매우 큰 규모를 자랑하고, 각 방향에 균형있게 가지가 발달했으며 열매의 결실 상태나 잎 크기 등으로 보아 생육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탱자나무는 조선시대부터 많은 문헌 기록에 울타리용, 군사용, 약재용으로 소개되는 등 우리 민족의 생활에 전통적으로 유용하게 쓰인 나무이다. 홍만선의 '산림경제'에 의하면 유배된 죄인의 집 주변에 가시나무로 울타리를 치고 죄인을 가두는 형벌인 위리안치(圍籬安置)의 가시나무로 탱자나무가 쓰였다고 하며, 석성동헌 탱자나무가 관아의 동북쪽에 심겨 있어 상징적 의미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지정 예고된 두 나무는 30일간의 예고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해 자연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예정이다.
- 이명자 '태평무' 명예보유자 3일 노환으로 별세
- 국가유산청, 4대궁·종묘와 한복 결합한 '사진 공모전' 개최
- 국가유산청, 조선 공주 혼례복 '복온공주가 홍장삼' 등 민속문화유산 지정예고
- 국가유산청, 경복궁서 초등 3~6학년 대상 궁궐 활용 프로그램 운영
- 국가유산청, 8월 전국 각지서 무형유산 공개·기획 행사 진행
- 국가유산청,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사택서 특별전·학술대회 개최
- '조선통신사선' 260년만에 부산-시모노세키 해로 운행한다
- 부산·울산·경남 지역주민 대상 '가야토기' 활용 테라리움 수업 개최
- 진도군, 진돗개 모토로 개발한 '돌백' 인형 11월 출시
- 국립박물관문화재단, 한국조폐공사와 문화유산 주제 상품 개발
- 국가유산청, 하반기 '경복궁 생과방' 추첨 선발
- 주미대한제국공사관, 미국 국가사적지 등재 예고
- 국가유산청 "북한 태권도 유네스코 등재신청, 배타적 독점 아냐"
- 국가유산청, 덕수궁 석조전서 한-이탈리아 르네상스 무용 공연
- 국가유산청, 진해 근대역사문화공간 활성화 방안 제안한 전시회 연다
- 국가유산청, 고종이 프랑스에 선물한 예물 '반화' 복제품 제작한다
- 국가유산청, 불교문화 확산 위해 범정스님 홍보대사 위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