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는 우리나라 현존 가장 오래된 가면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성과를 수록한 첫 보고서 '국보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은 1964년 국보로 지정됐으며 총 13점(하회탈 11점, 병산탈 2점)으로 구성돼 있다. 센터는 지난 2021년 8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정밀 상태조사와 과학적 분석, 보존처리를 진행했다.
이번 보고서는 당시 조사연구를 통해 확인한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의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다. 탈 제작에 사용된 나무는 통상 오리나무로 조각했다 알려진 것과 다르게 대부분 버드나무속으로 확인됐다.
조사 결과 탈의 얼굴, 머리, 눈썹 등을 칠하는 데 사용된 안료도 주홍색에는 연단(鉛丹)과 연백(鉛白)이, 적색은 진사(辰砂) 또는 진사와 연단이, 백색에는 연백, 갈색은 석간주(石間硃)로 칠했음이 함께 확인됐다.
이와 함께 X선과 적외선, 자외선을 활용한 비파괴조사로 육안으로 살피기 어려운 탈의 내부 구조와 보수 흔적 등도 살핀 내역이 담겼다. 특히 병산탈(을)은 두 개로 쪼개져 보강재를 부착한 채 보관돼 왔는데, 센터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기존 보강재 제거 후 비파괴조사를 통해 원형 접합 각도를 유추하고 하부 보강판을 제작해 보존처리를 진행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가유산 지식이음 누리집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고창 문수사 대웅전'·'의성 고운사 가운루' 보물 지정
- 국가유산청 '임시정부 성립 축하문·선언서' 문화유산 등록 예고
- 국가유산청, 문화유산 207건 정기조사 보고서 발간
- 국가유산청, 제2대 국가유산수리기술위원회 발족
- 국가유산청, 몽골 현지 건축유산 공동조사 진행
- '덕수궁서 즐기는 여름밤 클래식' 국가유산청, 실내악 음악회 개최
- 덕수궁서 '국가유산 수리기능인' 교육생 작품 전시 열린다
- 송파문화재단, 성인 대상 '도시재생·역량강화' 강의 진행
- 국가유산청 '2024 국외문화유산 후원자의 날' 개최
- 국가유산청, 어린이 대상 전통공예 체험 프로그램 '하하(夏夏), 공예' 개최
- 국가유산청, 1946년 이후 제작 문화재 수출 가능토록 법령 개정
- 국가유산청, 하반기 전통공예체험교실 수강자 모집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유아·초등생 대상 '해양유산 만들기' 교육 실시
- 국가유산청,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서 1602년 기록 발견
- 국가유산청, 사계 담은 자연유산 홍보영상 명동서 송출
- 부산·울산·경남 지역주민 대상 '가야토기' 활용 테라리움 수업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