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DB산업은행은 지난 4월 총 1조원 규모 회수시장 활성화 펀드 조성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투자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산업은행은 정부 '혁신 벤처‧스타트업 자금지원 및 경쟁력 강화 방안' 후속조치로 지난해 회수시장 활성화(세컨더리, 인수합병(M&A)) 분야에서 총 5개 위탁운용사를 선정한 바 있다.
5개 펀드 결성시한이었던 올해 4월 말까지 당초 목표결성금액(총 7000억원)을 크게 초과하여 1조원 규모로 회수시장 활성화 펀드 조성을 마무리하는 등 최근 펀드레이징이 크게 위축된 상황 속에서도 민간의 높은 참여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산업은행이 만기도래 펀드 지속 증가, 기업공개(IPO) 시장 회복 지연 등 회수시장을 둘러싼 어려운 환경을 조기에 인지하고 출자사업을 신속하게 진행해 벤처시장 내에서 자금수요가 높은 분야에 모험자본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었다는 데도 의미가 있다.
산업은행은 세컨더리, M&A 펀드 신규 조성을 통해 운용사(VC, PE)들이 회수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모험자본시장의 선순환 체계(투자→회수→재투자)를 공고히 하겠다는 취지에서 이번 출자사업을 추진했다.
산업은행은 운용사 간담회 등 시장참여자와 소통을 강화하며 시장 수요를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결과 시장 높은 관심 속에 1조원을 초과하는 대규모 회수시장 활성화 펀드를 조성할 수 있었다.
이번에 신규 조성된 펀드는 IPO시장 회복 지연 등으로 위축된 회수시장뿐만 아니라 모험자본 투자 생태계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어 유망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정부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시장의 목소리를 더욱 경청하여, 모험자본 시장 내 필요성이 높은 분야에 대한 시장조성자 역할을 적시성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글로벌 스타트업 페어 'NextRise 2024, Seoul' 성공적 개최…벤처생태계 활성화 기여
- 산업은행, 글로벌 스타트업 페어 'NextRise 2024, Seoul' 개막
- 강석훈 "KDB생명, 아픈 손가락…원매자 없는 게 현실“
- 강석훈 산은 회장 "부산 이전 예정대로…법정자본금 60조로 늘려야"
- 산업은행, KDB생명에 2990억 출자…재매각 추진할까
- 산업은행, 유로달러 공모채 10억 달러 발행
- 산업은행, 동남권 산업 기후위기 대응 지원 나서
- 산업은행 "삼성전자 반도체 대출 요청, 사실 아냐"
- 산업은행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 프로그램' 출시
- 농금원, '반려동물 펀드' 추가 출자 사업 심사 돌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