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PF 정상화 방안이 발표를 앞두고 있다. 사업성 평가기준 단계가 확대되면서 PF 리스크가 있는 증권사들이 충당금을 추가 적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금융당국의 엄격한 기조 아래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지난해 PF 관련 충당금을 보수적으로 쌓았지만, 당국이 PF 옥석가리기에 속도를 내면서 2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르면 오는 10일 부동산 PF 정상화 계획 최종안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최종안 발표를 위해 금융업계·관계기관과 막판 조율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빠른 부동산PF 시장 정상화를 위해 사업성이 입증된 사업장에 신규 자금이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장 평가를 강화해 부실 사업장의 신속한 정리를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경·공매 활성화 방안 세부 내용도 함께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PF 사업장의 사업성을 정교하게 평가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양호(자산건전성 분류상 정상)-보통(요주의)-악화우려(고정이하)의 3단계인 현행 사업성 평가 기준이 양호-보통-악화우려-회수의문 등 4단계로 확대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악화우려나 회수의문 사업장에 대해서는 하반기에 경·공매 등 부실 정리 또는 사업 재구조화 계획을 제출받아 이행 상황을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세분화됨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충당금 추가 적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당국이 엄격한 기준을 내세우면 2분기 실적 감소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증권사들은)2분기 중 부동산PF 관련 충당금 인식 가능성이 높다"며 "2분기 실적 결정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예상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PF 정상화 방안이 발표되면 충당금 추가 적립에 나서는 증권사들이 많을 것"이라며 "충당금 규모에 따라 2분기 실적도 꺾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미 대규모 충당금을 쌓았던 증권사들도 예외는 없다는 분위기가 맴돈다. 대부분 증권사들은 올해 초 금융당국이 보수적인 충당금 책정을 강하게 요구하면서 지난 4분기에 충당금 규모를 대폭 늘렸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PF 정상화를 가속화함에 따라 증권사들도 당국 기조를 따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지난해 대규모 충당금을 쌓았더라도 금융당국이 추가 적립을 요구하면 따를 수밖에 없다"며 "일단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쌓은 후 나중에 환입처리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