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현행 3.50% 수준에서 운용하기로 했다. 10연속 동결이다. 국내 성장세가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도 계속될 전망이지만 아직 물가 2%대 하락을 확신하기엔 이르다는 판단이다.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문에서 "물가상승률이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높은 수준"이라고 현 국내 경제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주요국 통화정책과 환율 변동성,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여전히 큰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고 대내외 정책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미국 연방준비제도 금리인하 기대감이 약해지면서 국채 금리가 오르고 미국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는 만큼 국제 경제와 금융시장이 주요국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양상,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국내 경제 흐름은 양호하다고 봤다. 통방문에 따르면 국내경제는 수출을 중심으로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취업자 수 증가가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소비 회복세가 완만한 가운데 IT경기 호조 등에 힘입어 수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확대되고 올해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2.1%)에 부합하거나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물가는 3월 기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이 2.4%로 하락했ㅇ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승률은 농산물가격 및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전월과 같은 3.1%를 유지했다.

금통위는 "앞으로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전망경로에 부합하는 둔화 추세를 이어가면서 금년말에는 2% 수준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하며 "소비자물가도 점차 낮아질 예정이지만 불확실성이 큰 상태"라고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금통위는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개선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근원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자물가 전망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통방문과 달리 '장기간' 이라는 표현이 빠졌다. 경제 추이가 불확실하지만 인하 기대감을 완전히 저버리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