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문제민 기자
금융감독원. 사진=문제민 기자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 중인 가운데 금융당국이 다음 달 8일부터 개별 금고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

행정안전부로부터 관리·감독을 받는 새마을금고에 대한 금융당국의 검사가 이뤄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1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예금보험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등과 함께 다음 달 8일부터 약 2주간 새마을금고에 대한 현장 검사를 나간다.

자산 규모가 비교적 큰 개별 금고 4곳이 검사 대상이다.

이번 검사는 금융위원회와 행안부가 지난달 맺은 '새마을금고 건전성 감독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에 따라 금감원·예보·새마을금고중앙회가 검사협의체를 구성한 데 따른 것이다.

금융당국과 행안부는 작년 7월 새마을금고 뱅크런 위기 이후 금고 감독 과정에 금융당국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수용해 이 같은 공동 검사에 처음으로 나서게 됐다. 금융 분야 전문성이 떨어지는 행안부가 감독하면서 건전성 관리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들이었다.

특히 올해 들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여파 속에서 급등하며 긴장감이 높아진 상태다.

작년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전체 연체율은 5.07%였지만 올해 1월 기준 6%대로 오른 데 이어 지난달엔 7%대까지 추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가운데 PF와 유사한 성격의 관리형토지신탁이나 공동대출 부실화가 연체율 상승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첫 검사 이후 새마을금고 건설 관련 부실채권 정리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금감원은 새마을금고와 함께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는 저축은행에 적극적인 경·공매를 유도하고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상호금융권(새마을금고 제외) 연체율은 2.97%로 2022년 말(1.52%) 대비 1.45%포인트(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62%p 오른 1.53%, 기업대출 연체율은 2.08%p 상승한 4.31%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