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제2금융권에 부실자산 증가 등 연체율 상승 위험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해 손실 흡수능력 확충해줄 것을 당부했다.
금융감독원은 13일 저축은행, 상호금융, 카드·캐피탈사 등 제2금융권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4년 중소금융 부문 금융감독 업무 설명회'를 열고 손실 흡수능력 확충을 당부했다.
이날 박상원 금감원 중소금융담당 부원장보는 모두발언에서 "고금리·고물가 장기화 등 대내외 여건을 감안해 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고 위기대응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건전성 관리와 함께 여신심사를 통해 자금을 공급하는 게 금융회사 본연의 역할인 만큼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 취약계층 자금 공급이 과도하게 위축되지 않도록 유념해달라"고 덧붙였다.
또한 "경기가 어려울수록 금융사고 발생 가능성도 증대되므로 내부통제를 더욱 강화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김주현 "ELS 자율 배상 배임 우려, 이해 안 돼"
- "4대은행, ELS 40% 배상 시 1.6조 비용 부담"
- "가입 취소할래요" 청약철회권 도입에 금융사 14조 환불
- 푸본현대생명 '퇴직연금' 관리 미흡…"금감원 개선 통보"
- "안아픈데 주사 맞으면 보험금 못 받는다"…금융당국 '무분별한 실손청구' 대응
- 금감원, 보험사 '장수 리스크' 반영한다…건전성 리스크 우려
-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각 시동…건전성·수익성 높인다
- 금감원 "단기납 종신보험 절판마케팅 자제"…불완전판매 증가 우려
- 은행 부실채권, 지난해만 1조 늘었다
- 고금리 수신 경쟁·PF에 발목잡힌 저축은행, 9년 만에 적자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