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신지급여력비율(K-ICS) 결산을 앞둔 보험사들에게 모든 상품에 '장수 리스크'를 반영할 것을 요구했다.
금융당국이 반영을 요구한 장수 리스크는 보험업계의 리스크 관리 복병으로 작용해 신지급여력비율(K-ICS)에 악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보험리스크관리국은 사망률 감소 충격의 영향을 모든 상품군에 적용해 신지급여력비율(K-ICS) 결산에 반영하라는 입장을 보험사에게 전달했다.
K-ICS는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여력을 나타내는 건전성 수치다.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눠 산출하며 장수 리스크가 전 상품에 반영되면 위험액 증가와 함께 요구자본이 상승해 K-ICS가 하락하게 된다.
보험사별로 장수 리스크를 반영하는 상품에 차이가 발생하자 이를 통일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현업에서는 보험사별로 장수 위험을 전 상품에 반영하거나 연금 상품에만 반영하는 등 위험액 산출 기준이 중구난방이었다는 평가다.
장수 리스크는 보험계약자가 오래 생존해서 발생하는 보험사의 위험을 말한다. 지난해부터 보험사에 도입된 건전성 제도인 K-ICS서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추가됐다.
일반적으로 사망보험을 제외한 보험상품에선 수명이 늘어날수록 보험사가 지급해야 하는 보험금의 예상액이 증가한다. 계약에 따라 보장 기간이 길어질 수 있고 계약자가 질병이나 재해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져서다.
금융감독원의 이번 조치로 기존에 일부 상품에만 장수 리스크를 적용해 온 보험사는 K-ICS가 하락할 전망이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K-ICS에서는 장수 이외에도 해지·사업비·대재해 리스크 등을 신규 보험위험으로 인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새회계제도의 연착륙을 위해 보험사로부터 신청을 받아 일정 기간 경과조치를 부여한 상태다.
- "안아픈데 주사 맞으면 보험금 못 받는다"…금융당국 '무분별한 실손청구' 대응
- 금감원 "중소금융권, 연체율 상승 대비해 선제적 충당금 적립 필요"
- "가입 취소할래요" 청약철회권 도입에 금융사 14조 환불
- 푸본현대생명 '퇴직연금' 관리 미흡…"금감원 개선 통보"
- 금감원 "주총서 의결권 불성실 행사한 운용사 공개할 것"
- 금감원 "단기납 종신보험 절판마케팅 자제"…불완전판매 증가 우려
- 금감원 "지난해 카드사 순이익 0.9% 줄었다"
- 금감원 "은행계좌 악용한 청소년 도박·마약거래 반드시 찾아낸다"
- 금감원 "고가 시술 전 실손 보장 여부 확인"…실손보험 소비자 경보
- 은행 부실채권, 지난해만 1조 늘었다
- 순위 낮은 보험사가 지급여력비율 더 높은 까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