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고금리 수신경쟁과 대손충당금 부담이 겹치면서 저축은행업계가 9년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연체율도 크게 오르는 등 자산건전성도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은 지난해 당기순손실 5559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적자 전환했다. 2014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2015년부터 2022년까지 1조원 내외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9년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적자전환 원인은 조달비용 증가에 따른 이자손익이 2022년 대비 1조3000억원 감소하고, PF 대출과 관련한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대손비용이 1조3000억원 증가한 탓이다. 특히 대손충당금이 추가적립되면서 4분기 적자 폭이 1~3분기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은 레고랜드 사태 이후 자금 확보를 위해 연 5% 이상 고금리 예금을 경쟁적으로 유치했다. 그 결과 지난해 이자비용은 5조3508억원으로 전년대비 2조4331억원이 늘었다. 반면 이자수익은 1조92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수신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레고랜드 사태로 확보한 고금리 예금을 만기도래 시점에 재예치 하지 않고 낮은 금리 상품을 판매하면서 수신이 13조1000억원 줄었다. 고금리 환경이 지속되고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대출자산이 11조156억원 줄어드는 등 대출영업이 어려워진 탓이다. 

대출영업 감소는 연체율 관리 영향도 있다. 연체율은 지난해 말 6.55%로 전년말(3.41%) 대비 3.14%p 상승했다. 가계(5.01%) 보다는 기업(8.02%)대출 연체율이 전년 말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5.12%p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7.72%로 전년말 4.08% 대비 3.64%포인트 올랐다.

다만 연체율은 과거 저축은행 사태 당시(20.3%)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저축은행의 자본비율(14.35%)이 규제비율(7%, 자산 1조원 이상 8%)을 크게 상회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금감원은 "올해 저축은행 영업실적이 예금금리 안정화 등으로 전년보다 다소 개선될 가능성도 있지만,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하고 자본확충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해 나가겠다"면서 "경·공매, 캠코 및 자체 PF펀드 등을 통한 재구조화 등 다양한 방식의 매각, 채무 재조정 등을 통해 연체채권을 정리하는 등 건전성 관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