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겠다며 유관기관들이 내놓은 밸류업 프로그램을 두고 시장 예상보다 강제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간 코스피 강세를 이끈 저PBR 종목도 줄줄이 미끄러지며 시장엔 실망감이 퍼졌다.
26일 금융위원회는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과 함께 '한국증시 도약을 위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1차 세미나'에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주요내용을 소개했다.
유관기관들은 상장기업이 자율적으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세제 지원 방안 강구 등 인센티브 제공 계획을 밝혔다. 기업가치 우수 기업 중심으로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개발해 기관 투자자가 벤치마크 지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ETF 상장을 통해 일반 투자자들도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시장별·업종별 PBR·PER·ROE 등 주요 투자지표를 비교공표함으로써 투자자 편의도 제공한다.
다만 금융당국과 유관기관들이 내놓은 프로그램에는 상장기업이 주주가치 제고 노력을 펼치도록 하는 강제성이 없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어디까지나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가이드라인과 정책을 펼치겠다는 공염불에 불과했다는 평가다.
당초 금융당국은 상장기업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지배구조보고서 등에 기재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자산이 5000억원 이상인 코스피 상장기업은 1년에 한 번 지배구조보고서를 공시해야 하므로 의무성이 더해질 것으로 시장은 기대했다.
그러나 공시 내용을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특성 상 기업이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우려에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상장기업이 자율적으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과감한 인센티브를 통해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며 "상장기업이 이사회를 중심으로 각 기업의 특성에 맞게 중·장기적인 관점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자율적으로 수립·공시·이행할 수 있도록 기업가치 제고계획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장이 기대했던 강제성이 매우 약화된 셈이다. 당장 벤치마킹 대상으로 꼽히는 일본보다 추진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게다가 일부 기업은 실적발표 자료를 통해 자기자본이익률(ROE), 주주환원율 등을 공개하고 있어 극적인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예상도 뒤따른다.
시장 실망감을 반영하듯 이날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이후 주요 금융주와 지주사 종목 주가는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저PBR 대표주로 꼽힌 하나금융지주는 전일대비 장중 10.02%, 신한지주는 7.97%, 현대차는 5.12%까지 하락했다.
강승건 KB증권 연구원은 "기업 자율에 초점을 맞춰 투자자들의 주주환원에 대한 기대감이 현실화됨에 있어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배당소득세의 분리과세 기대감, 기업의 이행 측면에서는 강제성 부여 여부 등에서 아쉬움이 남는다"고 밝혔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강제성이 없는 자율규제에 세제 혜택이 없어 단기적으로는 차익 매물 출회가 불가피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밸류업 프로그램이 중·장기적 방안이고, 상반기 내 2차 세미나와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겠다는 당국 발언에 오후 낙폭을 만회하는 모양새다.
박 연구원은 "5월에 밸류업 2차 세미나가 예정되어 있고 한국거래소의 관련 인덱스와 ETF 출시도 후속되어 있는만큼 부족했던 부분이 보완돼 정책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