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2024년 관광 분야 예산이 1조3115억원으로 확정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작년 대비 814억원(6.6%) 증가한 규모로, 정부지출 평균 증가율(2.8%)의 2배가 넘는 증액이다.

‘2023~2024 한국 방문의 해’ 행사에는 78억원이 늘어난 178억원을 투입한다. 해외 주요 25개 도시에서 열리는 ‘K-관광 메가 로드쇼’에 30억원이 증액된 76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사우디, 브라질 등 10개국에 한국관광 홍보지점을 설치하는 데 40억원을 신규 투입하고, 인천공항에 30억원을 들여 K-관광·컬처존을 새롭게 조성한다. 숏폼으로 홍보물을 제작·배포하는 사업도 2억5000만원을 새로 투입해 추진한다.

지역축제를 벗어나 세계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글로벌 축제’를 선정해 육성하는 데 새로 25억원을 편성하고, ‘코리아 둘레길 세계적 브랜드화 사업’에도 13억원을 들여 신규 조성한다.

K-콘텐츠를 활용한 한류 관광에 30억원이 늘어난 110억원을, K-스포츠를 접목한 스포츠관광에는 23억원을 늘린 39억원을 편성했다. ‘치유관광’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125억원을 투입하고, 304억원을 들여 K-마이스(MICE) 재도약을 지원한다.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 방문 시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30억원)을 시범사업에서 신규사업으로 전환해 추진한다. 워케이션 사업은 17억원을 늘린 19억원을, ‘야간관광 특화도시’를 조성에는 11억원을 더 투입해 48억원으로 편성했다.

올해 본격 시작하는 남부권 광역관광개발 사업은 223억원을 증액한 278억원이 투입됐고, 섬 관광 활성화 사업에는 52억원을 편성했다. 주요 관광지를 대상으로 국민참여형 합동점검단을 운영해 관광서비스 품질 개선 나서는 사업에는 16억원이 새로 투입된다.

관광취약계층을 위한 열린관광지 사업에는 25억원이 늘어난 107억원을, 무장애 관광도시 사업에는 10억원이 추가된 25억원이 편성됐다.

또한 관광사업체의 시설 투자를 촉진하고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관광기금 융자사업을 총 6365억원 규모로 대폭 확대한다. 관광기금 융자는 전년 대비 900억원 증가한 5365억원을, 이차보전 사업 예산은 26억원 늘어난 52억원을 투입한다. 온라인 유통채널 진출과 보안인증 절차를 지원하는 ‘중소여행사 여행상품 유통 지원사업’(4억원)도 새롭게 추진한다.

관광기업의 디지털 혁신 활동을 보조하는 ‘관광기업 혁신바우처 지원 사업’(63억원)을 확대하고, 업계의 디지털 인력 수요에 대응한 미래형 관광인재 양성을 지원(158억원)한다. 해외관광기업지원센터 추가 설립에는 7억원을 늘린 18억원을 투입한다.

문체부 유인촌 장관은 “2024년에는 외국인 관광객 2000만명을 유치하고 우리 관광업계가 역대 최고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관광 분야 예산 규모를 크게 확대했다. 올해에도 대규모 한국 방문의 해 행사를 이어나가고, 경쟁력 있는 K-관광콘텐츠를 발굴하는 등 한국 관광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체부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