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은행들이 판매한 해외 부동산 펀드가 대규모 손실 위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가 원인으로 꼽힌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해외 부동산 펀드 판매 잔액이 7531억원으로 나타났다. 만기가 없는 리츠 펀드 외에 해외 부동산 펀드를 판매하지 않은 농협은행을 제외하면, 은행별 판매 잔액은 최소 1000억원 이상이다. 

펀드 판매 잔액 중 내년 상반기 만기 도래 규모는 1061억원이다. 하반기에는 1510억원으로 상반기보다 규모가 크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투자금을 모아 해외 상업용 부동산 지분을 취득하거나 소유권을 확보한 뒤 임대 수입으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만기 도래 전 자산을 매각하면 최종 수익이 나는 구조다. 시장이 침체되면 가격이 낮아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데, 부동산은 규모도 커서 아예 매각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최근 해외 상업용 오피스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실이 증가하고 있고, 고금리 시장환경 여파로 부동산 투자 수요가 줄고 있다. 이에 6~7%의 수익률을 목표로 했던 펀드들이 원금 손실마저 우려하고 있다.

은행 외 전체 금융사로 시선을 넓혀보면 손실 위험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 규모는 55조8000억원에 달했다. 

금융당국은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할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개별적으로 건전성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 11일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금융감독원에 "(해외 부동산 펀드)손실 가능성과 각 금융회사의 대응 상황을 밀착 모니터링 해달라"고 강조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