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대 증권사가 주식과 채권, 파생상품 담당 임직원들에게 지급한 상여금이 82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실적 부진을 겪은 가운데 성과급이 과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래에셋·한국투자·NH투자·삼성·KB·하나·메리츠·키움·신한투자·대신증권 10대 증권사의 고유자산운용부서 임직원은 2018~2022년 동안 상여금으로 3018억3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8년 469억4500만원, 2019년 447억3900만원, 2020년 552억7800만원, 2021년 728억5000만원, 2022년 819억9100만원으로 계속 증가했다.
증권사별로는 메리츠증권이 지난 5년간 694억3100만원을 지급하며 가장 많았고, 이어 하나(629억5300만원), KB(413억5500만원), 삼성(329억2100만원), 신한투자(296억8100만원), 한국투자(228억3100만원), NH투자(194억7400만원), 미래에셋(150억8200만원), 키움(63억5000만원), 대신(17억2500만원) 순이었다.
금감원이 발표한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2022년 증권회사(58개사) 당기순이익은 4조5131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전년대비 50.3% 감소했다.
이같은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성과급 지급 규모가 계속 늘어난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달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증권사 임직원이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지적에 "잘못 설계된 체계로 인해 과도한 성과급이 지급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업권과 사업장별로 과도한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겠다"라고 밝혔다.
- 키움증권, 영풍제지 주가조작 빌미 제공…재차 '내부통제 실패’
- 9대 증권사, 부동산PF 임직원에 8510억원 성과급…환수 가능성
- 금융당국 제재 앞두고 박정림 KB증권 대표 거취 '안갯속'
-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 이화전기 논란에 '진땀'[2023 국감]
- 이복현 "불법 공매도, 한국 증시 저평가 원인" [국감 2023]
- 증권사 직원 194명 징계 받아도 '재직'…부국증권 최다 [2023 국감]
- 증권사, 전산장애 늘어도 보상 급감…현대차증권은 '모르쇠'[2023국감]
- 홍원식 하이투자증권 대표 "부동산 PF 꺾기 없었다"[2023 국감]
- 윤종규 KB금융 회장, 증인 불참 사유서 제출[2023 국감]
- vip자산운용, 금융의날 국무총리 표창…공모펀드 시장 환기 기여
- 김주현 금융위원장 "공매도 제도 원점에서 개선"[2023 국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