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예술활동증명 절차를 간소화하는 ‘예술인 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이하 개정안)이 30일 공포·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재난 기간만큼 예술활동증명 유효기간을 일괄 연장해 주고 ▲20년 이상 예술활동증명을 유지한 예술인의 예술활동증명 재신청을 면제하며 ▲예술활동 분야, 실적 제출 기간 등에 따라 3년 또는 5년으로 달랐던 예술활동증명 유효기간을 5년으로 단일화했다.
예술활동증명 처리와 관련한 문제는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부각된 바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예술 활동 자체가 어려운 재난 기간에 예술활동증명 유효기간이 만료돼도 재신청을 할 수 없는 예술인이 다수 발생했고, 재난지원금 신청 등을 위해 예술활동증명 신청이 급증함에 따라 심의 절차가 지연됐다.
이번 개정으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예술인이 정상적으로 예술활동이 어렵다고 문체부 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에 해당 기간만큼 유효기간을 별도의 신청 없이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해당 내용은 코로나19 종식 여부에 상관없이 소급해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예술활동증명 기간이 20년 이상인 예술인은 평생 직업예술인으로 활동한 것으로 판단해 예술활동증명을 다시 신청하지 않아도 유효기간이 유지된다.
현행 예술활동증명은 예술 분야에 따라 실적 제출 기간 및 유효기간이 3년 또는 5년으로 다르게 적용됐으나, 이번 개정을 통해 예술활동 분야와 상관없이 실적 제출 기간 및 유효기간을 5년으로 단일화했다. 다만, 최근 1년간의 예술 활동으로 얻은 소득을 기준으로 예술활동증명을 받는 경우의 유효기간은 현행대로 1년으로 유지했다.
문체부 이은복 예술정책관은 “이번 개정으로 코로나19 등 재난 기간 동안 예술활동을 하지 못했던 예술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예술활동증명 처리 지연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박팽년·성삼문·김종서 등 40인 조명…‘세종인물여행’ 발간
- ‘72년 전통’ 서울시 문화상, 후보자 추천 접수
- 한국예술인권리구제센터, 예술인 위한 ‘퍼플라인 무료연습실’ 개방
- 미래세대 문화정책 담아낼 교류의 장…‘청년문화주간’ 개최
- 문체부, 장애예술인 공예품 판매 공간 마련
- ‘검정고무신 법률센터’ 개소…저작권 독소조항 추적 나선다
- 콘진원-장문원, 장애예술인 발굴 위해 MOU 체결
- ‘예술 활동 증명’, 더 빨리 받는다
- 스트리트댄스·웹툰 분야도 예술인 복지지원 혜택받는다
- "스트리트 댄서도 예술활동증명 가능"…문체부, 운영지침 개정 추진
- '예술인권리보장법' 25일 시행…불공정행위→갑질·성희롱 확대
- 문체부, 예술인 1만5천명 하반기 창작준비금 각 300만원 지원
- 예술활동증명... "한국예술경영연구소" 현실적인 방안 나올까...
- 미술품 재판매시 작가에 수익 배분…미술진흥법 국회 통과
- 문체부 “문학번역원, 번역출판 사업 공정성 부족·관리 부실”
-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에 장동광 前 도자재단 상임이사
- 일본 드라마·예능 등 비디오물 규제 폐지
- 문체부, K-씨름 활성화 위해 경기교육청·씨름협회와 맞손
- 박보균 문체부 장관 “문화재 침수 피해, 신속히 복구할 것”
- 문체부-공정위, 콘텐츠 불공정 거래 관행 개선 위해 맞손
- 문체부, 출협 회장 수사 의뢰…“도서전 수익금 누락 의혹”
- 문체부, ‘K-컬처’ 사업 118개 추진…3277억원 투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