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우리나라가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정부간위원회 위원국으로 선출돼 2023년부터 2027년까지 활동한다고 9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9차 문화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기간 진행된 정부간위원회 선거에 출마했고, 지난 8일 오후 당사국의 합의로 최종 선출됐다.
문화다양성 협약은 문화다양성을 인류공동의 유산으로 규정하고, 각국이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규정한 협약이다. 2005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이후 전 세계 152개국에서 협약을 비준했으며, 한국은 2010년에 비준했다.
그 중 문화다양성 협약 정부간위원회(대륙별 6개 그룹, 총 24개국)는 협약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이행, 회원국 역량 강화, 협약기금 운영, 지침 마련 등 주요 의사결정을 하는 위원회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은 기존 몽골, 방글라데시, 베트남이 위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몽골의 임기종료에 따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공석이 생겼고, 한국이 출마해 선출됐다.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문화다양성 협약 정부간위원회 위원국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고, 특히 2021년에는 정부간위원회 의장국으로서 제14차 정부간위원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국내외에서 문화다양성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인바 있다.
또한 문체부에 따르면 한국은 193개 유네스코 회원국 중 2022년 기준 정규분담금 8위로 유네스코에 많은 재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 문체부 역시 개발도상국 문화산업 발전 지원(누적 약 35억원) 및 유네스코 문화다양성기금 납부(누적 약 3억원) 등을 통해 유네스코와 지속 협업하고 있다.
문체부 정향미 문화정책관은 “이번 정부간위원회 선거 출마는 세계적인 문화매력국가인 대한민국이 글로벌 문화다양성 보호에 더욱 적극적으로 기여함으로써 문화를 통해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려는 의지가 담겨있다”라고 말했다.
- 4·19혁명·동학농민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유력
- 문화재청,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발족
- 줄다리기·판소리·탈춤…주한외국인 문화유산 탐방
- 최서북단 백령·대청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도전
- 반구천 암각화·한양 수도성곽, 세계유산 등재신청 후보 선정
- 수원화성문화제 발자취 한눈에…60주년 사진전
- 현존 최고 금속활자 ‘직지’, 반세기 만에 실물 공개
- 문화재청, 키르기즈공화국과 문화유산 교류 협력키로
- 문화재청-반크, 디지털 문화유산 홍보대사 5기 출범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아세안문화원과 업무협약
- 호국보훈의 달, 서울 다크투어리즘 코스 3선
- 여행 트렌드부터 빅데이터까지…서울시민관광 아카데미 개최
- 韓문화관광연구원-체코관광청, 관광산업 발전 위한 업무협약
- “코로나 최전선서 헌신”…의료진 4000명에 관광 지원
- 정책, 국민이 직접 알린다…문체부, 정책소통 공모전
- ‘코리아시즌’, 英서 개최…공연·전시로 ‘K-컬처’ 알린다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도전
- ‘한지, 전통지식과 기술’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추진
- 유네스코 무형유산협약 20주년 국제회의, 서울서 개최
- ‘韓 산림녹화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신청 대상 선정
-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장에 홍창남 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