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는 2026년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해 올해 상반기 중환경부에 신청서를 제출한다고 20일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적인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명소와 경관을 보호하고 기후변화 및 지질재해 교육,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관리되는 곳으로 2022년 기준 전세계적으로 46개국 177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서해5도이자 최서북단에 위치한 백령·대청·소청도는 66㎢의 작은 면적임에도 전 세계 자연유산에 뒤지지 않는 뛰어난 풍광과 지질유산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내륙과는 다른 지질특성과 지리적 위치로 동아시아 지각의 진화 과정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품고 있어 지난 2019년 7월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됐다.
인천시는 우선 올해 상반기 중 환경부에 백령·대청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로 신청할 예정이다. 환경부에서 후보지로 선정되면 내년에는 유네스코에 정식으로 세계지질공원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후 2025년에 국제지질과학연맹(IUGS)과 유네스코 평가단으로부터 가치평가와 현장실사를 받은 후 유네스코 이사회 심의를 거쳐, 2026년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의 최종 승인을 통과하면 백령․대청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정받게 된다.
윤현모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백령·대청·소청도의 우수한 지질지형과 독특한 생태, 환경, 문화자원이 어우러진 지질공원이 올해 운항 예정인 백령-대청-소청간 차도선 및 2027년을 목표로 추진 중인 백령공항과 결합되었을 때 지역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반구천 암각화·한양 수도성곽, 세계유산 등재신청 후보 선정
- 문화재청, 키르기즈공화국과 문화유산 교류 협력키로
- 문화재청-반크, 디지털 문화유산 홍보대사 5기 출범
- ‘문화유산채널’ 새 단장…키워드 연관 검색 도입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KF아세안문화원과 업무협약
- 문화재청, '문화유산 가치보존을 위한 한국 원칙' 선포
- '한국의 탈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문화재청, ‘해양문화유산 이코모스 토론회’ 개최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유력
- ‘조선시대 SNS’ 한시 속 서울의 명소, 책으로 만난다
- “4대강 보 적극 활용해야”…인근 주민 87% ‘찬성’
- 4·19혁명·동학농민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한국,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정부간위원회 위원국 선출
- ‘한지, 전통지식과 기술’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추진
- ‘韓 산림녹화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신청 대상 선정
-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장에 홍창남 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