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이창용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했다.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했다.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3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마무리 되면서 시장에서는 연내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으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2%에 달하기 전까지 인하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전원이 연내 최고 금리가 3.75%에 달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문을 통해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지속하겠지만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한국은행이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4%로 2월 전망치보다 0.2%p 낮아졌다. 내년 경제성장률도 기존 2.4%에서 2.3%로 하향했다. IT영역을 제외할 경우 예상 성장률은 1.8%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5%로 전망치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은 중극 리오프닝으로 인한 국내 파급효과가 크지 않았고 주요 선진국의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데다 국내경제는 소비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세 둔화가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고용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황이지만 경기 둔화로 취업자수 증가폭이 줄어든 만큼 국내경제는 당분간 부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IT 경기부진 완화, 중국경제 회복의 영향 파급 등으로 점차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상당폭 낮아졌다가 이후 소폭 높아져 연말까지 3% 내외에서 등락을 이어가리라고 내다봤다.

향후 물가 경로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공공요금 추가 인상 여부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역시 기준금리 인상을 마무리 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올해 중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으나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2%에 수렴한다는 증거가 나오기 전까지 기준금리 인하 언급은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한미간 금리격차로 외화유출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에는 "한미간 금리차에는 하나의 위험 요인이지만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답변했다. 금리 격차가 환율을 결정한다는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어 이 총재는 "원화가 중장기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며 "환율 절하에 대한 우려가 많은데 한미 금리차가 커졌음에도 연준이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는 신호를 주자 환율이 내려가지 않았나"고 강조했다.

실제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지난 19일(현지시간) "은행업의 불안정한 상황으로 대출 여건이 악화했으며 이에 따라 경제 성장과 고용,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 금리를 그렇게 올리지 않아도 될 수도 있다"고 발언하자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7.8원 하락한 1326.70원에 마감했다.

한편 이날 금통위원회 위원 전원이 기준금리 동결에 찬성했으나 올해 최종 금리가 3.75%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