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11월30일 모로코 라바트에서 개최된 제17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한국의 탈춤'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한국의 탈춤'이 강조하는 보편적 평등의 가치와 사회 신분제에 대한 비판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는 주제이며, 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안건으로 올라간 총 46건의 등재신청서 중에서 '한국의 탈춤' 등재신청서를 무형유산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의미를 명확하게 기술한 모범사례로 평가했다.
이번 '한국의 탈춤'의 유네스코 등재는 문화재청과 외교부, 경북 안동시, 탈춤과 관련한 13곳의 국가무형문화재와 5곳의 시도무형문화재 보존단체 및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이 준비과정에서부터 협력하여 이루어낸 성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은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총 22건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우리 고유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한편,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에 따라 문화다양성과 인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문화재청, ‘해양문화유산 이코모스 토론회’ 개최
- 국가기록원, 모로코와 기록물 복원 분야 협력 추진
- 문화재청, ‘2022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조선 최고의 건축도형…‘북궐도형’, 이달의 유물 선정
- 국립무형유산원,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자서전 발간
- 손끝으로 만나는 석굴암…점자 감각책·입체 교구 발간
- 마한의 취락지 '담양 응용리와 태목리 유적' 사적 지정
- 문화재청, 佛 국립기념물센터와 문화유산 교류협력 의향서 체결
- 임인년 마무리는 국가무형문화재와 함께…공개행사 개최
- 국제문화유산연합체 회의 온라인 개최…교육 프로 공유·성과 발표
- 최서북단 백령·대청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도전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