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산림청
사진 제공=산림청

올해 봄꽃은 오는 13일 제주에서 진달래를 시작으로 꽃망울을 터트릴 전망이다. 

산림청은 꽃샘추위가 시작되고 봄의 문턱에 들어섬에 따라 우리나라 주요 산림의 2023년 봄꽃 개화 예측지도를 3일 발표했다. 봄꽃 예측지도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봄소식을 가장 먼저 전하는 진달래, 벚나무류 등 산림 내 자생하는 나무와 개나리를 대상으로 발표했다.

이번 봄꽃 개화 예측은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국립산림과학원 그리고 지역 공립수목원 9개소가 공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산림 15개 지역과 권역별 국‧공립수목원 9개소를 대상으로 했다.

올해 봄꽃은 진달래를 시작으로 개나리, 벚나무류 순으로 개화가 진행된다. 개나리는 완도수목원 3월20일, 경남수목원 3월23일, 한라수목원 3월23일 등 남부지역 및 제주도를 시작으로 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진달래는 제주 3월13일을 시작으로 강원 화악산, 충북 소백산 지역이 5월에 개화하여 지역적 차이가 클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벚나무류는 제주 4월1일, 강원 광덕산이 4월30일로 다소 늦게 개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산림청 김기현 산림환경보호과장은 “산림청은 우리나라 산림의 대표적인 수종을 중심으로 관측한 현장 자료와 산악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산림 지역 개화 예측 모형의 정확성을 더욱 높이고, 봄꽃 개화 등 국민 생활에 유용한 서비스를 계속 제공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산림청 #꽃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