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에 1회 이상 숲을 방문한 사람이 미방문자보다 삶의 질이 3.9%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산림복지’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국민의 숲 이용 정도와 삶의 질 관계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1년간 1회 이상 숲을 방문한 사람이 방문하지 않은 사람보다 삶의 질이 3.9% 높았으며, 산림복지서비스를 1년간 1회 이상 이용한 사람이 이용하지 않은 사람 보다 삶의 질이 8.8%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숲의 방문 유형(일상, 당일, 숙박)을 구분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4시간 이내의 일상 방문자는 ▲이동시간 ▲경험 횟수 ▲활동 시간이 삶의 질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일 방문은 ▲경험의 다양성 ▲계절 ▲경험 횟수 등에 따라서, 숙박 방문은 ▲이용 일수 ▲지출 금액 ▲함께한 인원에 따라서 삶의 질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수록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일상, 당일, 숙박 방문 유형 중 1개 유형의 활동을 이용한 경험자의 삶의 질은 6.57점, 2개 유형을 이용한 경험자의 삶의 질은 6.66점, 3개 유형 모두 이용한 경험자의 삶의 질은 7.01점으로 나타났다.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조재형 과장은 “숲 이용의 다양성은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라고 밝히며 “앞으로 삶의 질을 더 높일 수 있는 숲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겠다”라고 전했다.
연구 결과는 간행물 '국민의 눈으로 숲을 읽는 해설서 vol.3'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간행물에는 숲 이용과 삶의 질 관계뿐 아니라, 올해의 숲 활동과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숲 이용의 변화 등에 관한 내용도 담고 있다.
- 1원짜리 참기름병이 국보된 사연…문화유산 발굴 이야기
- "성인의 78%, 한 달에 한 번 이상 산에 간다"
- 과도한 가지치기부터 열매 악취까지…산림청, 가로수 문제 해결 모색
- 호남·금남호남정맥에서 미세먼지 줄이는 바람길숲 발견
- 겨울 매화 납매, 엄동설한 속 진주서 첫 개화
- 백두대간 석회암지대서 '희귀 회양목 군락지' 발견
- 올해부터 달라지는 산림서비스는? 숲경영체험림 제도 6월 실행
- "DMZ 산림관리 강화 시급"…산림청, 첨단기술로 대책 추진
- 국립수목원,'500년의 숨결 광릉숲' 발간
- 산림청, 유엔사막화방지협약서 '파트너십 어워드' 수상
- 친환경 목조건축물 '숲체험교육관', 부산 사상공원에 건립
- "벚꽃, 4월1일 제주에서 만개"…봄꽃 개화 예측지도
- 건강한 도시숲의 기준은? 평가 지표 조류·먹이식물 선정
- 놀이로 만나는 멧토끼·굴토끼…국립수목원 특별 전시회
- 국립수목원, 질감으로 찾는 우리꽃 정원식물 도감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