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보‧보물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직접 현장 조사하는 연구자들이 집필한 '유물과 마주하다–내가 만난 국보·보물'이 발간된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보존‧관리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전자책을 무료로 공개한다고 13일 밝혔다.
2006년부터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문화유산의 보존 상태와 보관 환경에 대한 정기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문화재청은 2017년부터 국보‧보물로 지정된 미술‧기록 유산에 대한 정기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원 미술문화재연구실의 연구자들은 전국에 산재한 국보와 보물들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소장자를 직접 찾아가 문화유산의 보관 상황 등을 점검·기록하고 조습제나 방충제 등 보존 용품을 전달한다. 정기조사의 결과는 향후 국보·보물의 보수 계획 수립과 국고보조사업의 근거 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책자는 미술문화재연구실 연구자들이 직접 국보와 보물을 정기 조사한 과정에서 선별한 '국보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보물 서경우·서문중 초상' 등 13건의 주요 문화유산의 조사 소회와 뒷이야기를 한데 모아 재미를 더했다.
1원짜리 참기름병이 국보가 된 사연, 6.25 전쟁 당시 목숨을 건 피난길에서 어두운 밤을 이용해 커다란 영정함 두 개를 실은 수레를 끌며 끝까지 지켜낸 후손의 노력, 불교미술 전공자가 사찰 문화유산의 정기조사를 맡으면서 느끼는 ‘덕업일치’의 기쁨, 딸이나 아들, 처가나 외가를 구분하지 않고 나눈 재산 상속과 분배 문서인 ‘분재기’를 통해본 사회상의 소회 등 연구자들의 재미있는 현장 이야기가 많이 담겼다.
또한 유물의 세부 모습과 조사 장면을 담은 사진을 통해 현장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고, 해당 유물에 관한 참고 자료도 수록해 관련 연구 성과를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게 꾸몄다.
책자는 문화유산 정기조사 및 보존‧관리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개인 소장가, 문중, 사찰 및 전국 국‧공‧사립 도서관과 박물관 등에 배포되며,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에도 공개한다.
- 영조가 할머니께 올린 공예품…서울공예박물관, 소장품 연구도서 발간
- 서예부터 퍼즐놀이까지…수원박물관 '어린이 체험실' 문 활짝
- 서울역사박물관 20년 발자취 한눈에…전자책 발간
- 18년 연구 성과 담았다…나주문화재연구소, 전시홍보관 재개관
- 왕실 유물, 집에서 만난다…고궁박물관, 온라인 전시 개관
- 한성백제박물관, 한정판 '방문 기념 입장권' 특별 제작
- 국립고궁박물관, '모란불수문 향주머니' 2월 추천 유물 선정
- "숲 1년에 1회 이상 방문자, 미방문자보다 삶의 질 3.9% 높아"
- 거리두기 없는 첫 ‘밸런타인데이’…유통가, 다양한 프로모션 가득
- 문화유산을 신기술융합콘텐츠로…부여박물관 '백제를 실감하다' 공개
- 문체부, 공공도서관 등록제 등 시도별 도서관 정책 논의
- 한성백제박물관-고대사학회, '세계사 속의 고대' 합동토론
- 덕적도 해양문화유산, 다큐·학술보고서로 만난다
- 유리건판으로 보는 100년 전 기록…국립중앙박물관, '익산 편' 공개
- 조선관청 '군기시' 디지털 복원…메타버스 앱으로 만난다
- 가야문화재연구소-함안군, ‘함안 가야리 유적’ 연구 위해 맞손
- 근대 각석의 흔적을 찾아…인천시립박물관, 학술 보고서 발간
- "문화유산 정보,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에서 만나요"
- 발굴조사서 나온 인골·미라도 연구·보관…사업 본격 추진
- 한글로 쓴 가장 오래된 편지 ‘나신걸 한글편지’ 보물 지정
- 490년 전 조선 산수화 '독서당계회도' 보물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