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남·금남호남정맥에서 미세먼지를 줄이는 바람길숲이 발견됐다.
산림청은 호남정맥 448km, 금남호남정맥 72km의 산림 실태변화를 조사한 결과, 두 정맥의 산림에서 생성된 찬 공기가 광주광역시를 비롯해 전주시, 남원시, 순천시, 여주시 등 전라남·북도 17개 시·군의 미세먼지 확산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호남정맥은 전라북도 진안군 주화산에서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까지 연결되는 구간이며, 금남호남정맥은 경상남도 함양군 장안치에서 전라북도 진안군 주화산으로 이어진다.
여름철 폭염과 열대야를 완화시켜주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특히 남원시에서 찬 공기 생성과 흐름이 가장 원활한 것으로 분석되어 금남호남정맥 산림의 혜택을 크게 누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호남·금남호남정맥 조사 결과, 식물상은 총 120과 426속 832분류군이 출현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364분류군의 19.1%에 해당한다.
그동안 볼 수 없던 세뿔투구꽃, 백작약, 금붓꽃 등 희귀식물을 새롭게 발견했으며, 동물상은 포유류 12종, 조류 75종, 양서·파충류 14종, 나비류 61종 등이 출현했다.
김용관 산림보호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맥 보호의 필요성과 가치가 입증되었으며, 우리나라 국토 전반에 분기되어있는 정맥이 잘 보존될 수 있도록 정책 및 사업 발굴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산림청
관련기사
- 겨울 매화 납매, 엄동설한 속 진주서 첫 개화
- 백두대간 석회암지대서 '희귀 회양목 군락지' 발견
- 올해부터 달라지는 산림서비스는? 숲경영체험림 제도 6월 실행
- 국립수목원 광릉숲길, 무장애 산책길로 재개방
- 87곳의 국가 산림문화자산 한눈에…산림청 안내서 발간
- 국립산림과학원, 18일 '국토녹화 50주년 산림·임업 전망' 발표
- 국민 4명 중 1명 반려동물 키워…월평균 양육비는 15만원
- "성인의 78%, 한 달에 한 번 이상 산에 간다"
- 국립산림과학원, 배재수 원장 취임…"디지털 관리 체계 수립할 것"
- "숲 1년에 1회 이상 방문자, 미방문자보다 삶의 질 3.9% 높아"
- 국립수목원,'500년의 숨결 광릉숲' 발간
- 산림청, 유엔사막화방지협약서 '파트너십 어워드'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