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서울시
사진 제공=서울시

'2022 서울 빛초롱'과 '광화문광장 마켓'이 지난해 12월19일부터 이달 24일까지 총 36일간 운영을 마치고 성황리에 폐막했다.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총 130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고 26일 밝혔다. 방문 인원수로는 세계 3대 겨울 축제인 ‘하얼빈 국제 빙설제’, ‘삿포로 눈 축제’, ‘퀘벡 윈터 카니발’에 버금가는 수치다. 

2009년부터 청계천에서 진행됐던 서울 빛초롱은 2022년 광화문광장 재개장을 맞이해 최초로 광화문광장에서 진행됐으며, 소상공인과 함께하는 광화문광장 마켓도 조성하여 볼거리·즐길거리·먹거리가 있는 광화문광장의 대표적인 겨울 축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당초 서울 빛초롱과 광화문광장 마켓은 지난해 12월19일부터 31일까지 총 13일간 운영 예정이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 기간에만 22만3000명이 방문하는 등 시민들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올해 1월24일 설 연휴까지 연장해 총 36일간 운영됐다.

서울 빛초롱은 ‘함께하는 동행의 빛’이라는 주제에 맞게 광화문광장을 총 4개 구역으로 구분했고, ‘거북선’ 등(燈), ‘복토끼’ 등(燈) 등 구역별 주제에 맞는 대형 등(燈)을 전시했다. 1월 2일부터 진행된 연장 운영 기간에는 설 연휴 콘셉트에 맞게 ‘풍물놀이’ 등(燈)과 같은 전통적인 콘셉트로 일부 조형물을 교체하며 총 173점을 전시했다.

오세훈 시장의 아이디어로 진행된 광화문광장 마켓은 크리스마스 마켓 콘셉트로 기획됐으며, 올해 1월부터는 ‘복주머니’, ‘한복’ 등 설 연휴 분위기에 맞는 품목이 추가됐다. 총 48개 부스에서 소상공인 80여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1일 4시간 운영했음에도 불구하고 6억30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시와 재단은 축제 기간 내내 타 지자체와도 긴밀히 협력한 결과 도봉구청, 관악구청, 제주관광공사와 협력해 만든 등(燈)을 전시했으며 세종시는 행사 장소인 광화문광장을 답사하기도 했다.

서울 빛초롱과 광화문광장 마켓은 인근 상권의 매출액 증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광화문광장 인근 점포 101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75.2%는 본 행사가 주변 상권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했다고 답했으며 74.2%는 실질적으로 매출이 증가했다고 답하여 광화문 광장 인근 상권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키워드
#서울시 #축제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